풍란

Neofinetia falcata (Thunb.) Hu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관속식물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65590
  • 적색 분류 : 위급(CR)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정보부족  

형태

상록성 다년생 초본으로 바위나 나무에 착생해 자란다. 많은 뿌리가 돋아나고, 잎은 단면이 V자형으로 좌우에서 마주보며 엽선은 뒤로 휘어진다. 꽃은 7-8월에 3-5개가 총상으로 달리고, 백색이다. 포는 피침형이며 길이가 4-7mm이고, 꽃받침과 꽃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는 약 1cm이다.  

생물학적 특성

정보부족  

분포 현황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에 분포한다. 서쪽으로는 전남 신안군 가거도(소흑산도)에서부터 동쪽으로는 경남 거제도 국도에 생육한다. 지금까지 보고된 생육 장소는 19곳이나 현재는 제주도 성산 일출봉, 전남 진도와 고흥 등 3곳에서는 확인되었을 뿐이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지리적으로 바람이 잘 통하고 공중 습도를 얻기 쉬운 위치에 자생한다. 겨울에도 따뜻한 기온을 느낄 수있는 남쪽 지방의 바닷가 절벽이나 나뭇가지 등에 붙어서 자란다. 사방이 개방되어 있어 통풍이 잘되고 습기가 충분한 섬 지방에서 많이 자생한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현황

문헌과 표본 자료는 남해안 일대 20여 곳에 분포했음을 보여주나, 남획으로 인해 대부분 사라지고 자생지는 2곳만 남았으며, 제주도, 경남 및 전남 지방에 복원된 개체들이 생육하고 있다. 자연 개체 및 복원 개체들을 합해도 250개체 미만이다. 일본에서는 취약종으로 중국에서는 위기종으로 평가했다. A1acd; C2a(i).  

보호 상황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급 식물로 지정·보호하고 있으며, 자생지 대부분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정보부족  

참고문헌

선병윤(외). 2008. 다도해 멸종위기식물원 조성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환경부.
신현철(외). 2006. 멸종위기종인 풍란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모델 개발. 환경부.  

영문초록

Neofinetia falcata has been found widely along the southern coastal line. The plants, however, have long been collected for the garden. Currently, only three natural populations are left in Jeollanam-do and Jeju-do.  

풍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