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aluco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포유류
  • 영명 : Siberian Flying Squirrel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212947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요약

한때 절멸위기에 놓여 있는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나 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 전국적으로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 서식지 주변에 대한 적절한 보호 조치가 필요하다.  

형태

등은 엷은 회색계통과 갈색계통이 있다. 겨울털에서는 엷은 색으로 변하며, 은회색에 가깝다. 배면은 백색이며, 눈 주위는 흑갈색이다. 다른 설치류에 비해 눈이 매우 크며, 귀는 짧고 폭이 넓다. 꼬리는 편평하고 몸통보다 짧다. 앞발과 뒷발 사이에 피부막이 발달한 비막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개골은 절치공이 길고, 그 후단은 안와하공의 하단에 있는 결전전단의 위치보다 후방에 이른다. 체중 80-120g. 머리와 몸통의 길이 146-163㎜, 꼬리의 길이 97.5-121.0㎜, 뒷발의 길이 32-35㎜, 귀의 길이 18.0-21.5㎜. 두개골의 최대 길이 38.4-40.4㎜이다.  

생물학적 특성

야행성 소형 포유류로 나무와 나무 사이를 활공해 이동하는 특성이 있다. 번식은 1년에 1회 내지 2회에 걸쳐 이루어지며, 새끼를 2-6마리 낳는다. 나무껍질, 잎, 종자, 과실 등을 취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포 현황

제주도와 울릉도 및 도서 지역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전국 산악지대의 자연림과 성숙한 인공림에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정밀 조사된 결과는 없으나 관찰되고 있는 빈도로 보아 개체군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동강 지역의 우거진 노거수림에서 서식밀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강원도 일대에서는 밀도가 낮은 편이다.  

분류학적 특성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아종은 Pteromys volans aluco로 알려졌다. 최근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집단이 러시아 동부와 중국 북부에 분포하는 집단과 유전적으로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고되었다(Koh et al., 2008; Lee et al., 2008). 이 아종에 대해서는 추후 분류학적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산림벌채, 댐 건설, 서식지 환경 변화와 훼손, 병충해 예방을 위한 농약중독 등에 의해 위협받고 있으며, 서식지 주변에 대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다. 최근에는 활공해 도로를 건너다 로드킬 당하는 개체가 관찰되고 있다.  

특기 사항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2012년). 문화재청에서 천연기념물 제328호로 지정되어 있다(1982년).  

평가 결과

VU A2c 과거에는 태백산맥 지역에 널리 퍼져 서식했으나,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사이에 진행된 숲의 파괴에 따라 서식지가 사라졌고, 그 이후 조각화 현상과 함께 개체군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IUCN에서는 관심대상으로 평가했으나, 중국에서도 취약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우한정, 최청일. 2002. 동강유역의 포유동물상. 한국육수학회지 35: 331-336.
원병휘. 1967. 한국동식물도감 제7권 동물편(포유류). 문교부, 서울.
원홍구. 1968. 조선짐승류지. 과학원출판사, 평양.
윤명희, 한상훈, 오홍식, 김장근. 2004. 한국의 포유동물. 동방미디어출판, 서울.
이정일. 1993. 강원도 포유동물의 분포 밀도에 관한 기초 연구. 동국논집 12: 49-78.
최태영, 최현명. 2007. 야생동물흔적도감-흔적으로 찾아가는 야생동물 생태 기행. 돌베개 출판, 파주.
Corbet, G. B. and J. E. Hill. 1991. A World List of Mammalian Species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Koh, H. S., Y. Jin, B. G. Yang, B. K. Lee, S. W. Heo and J. H. Jang. 2008. Taxonomic status of Siberian Flying Squirrel from Korea(Pteromys volans aluco Thomas 1907).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24(2): 169-172.
Lee, M. Y., S. K. Park, Y. J. Hong, Y. J. Kim, I. Voloshina, A. Myslenkov, A. P. Saveljev, T. Y. Choi, R. Z. Piao, J. H. An, M. H. Lee, H. Lee and M. S. Min. 2008. Mitochondrial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Siberian Flying Squirrel(Pteromys volans ) populations. Animal Cells and Systems, 12: 269-277.
Shar, S., D. Lkhagvasuren, H. Henttonen, T. Maran and I. Hanski. 2008. Pteromys volans . In: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Wilson, R. and I. Reeder. 1993.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New York.
Won, C. 1996. Mammals of Korea: Current status and zoogeography. Ph.D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Arkansas.  

영문초록

Pteromys volans wa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deforestation has made population fragmented and the populations has been declined.  
집필자 : 오홍식(제주대학교)

하늘다람쥐
하늘다람쥐
조성원
하늘다람쥐
조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