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사비오리

Mergus squamatus Gould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Chinese Merganser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474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위기(EN)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Ⅱ급, 천연기념물 제448호

요약

물 흐름이 비교적 빠른 맑은 하천, 저수지, 호수, 육지와 인접한 해안에 국지적으로 도래하는 겨울철새이자 국제적 보호종이다. 전 세계 2,500개체가 생존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006년 최대 51개체가 관찰된 바 있다. 환경변화에 민감한 특성 때문에 하천정비와 같은 개발에 의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며, 최근에는 20개체 미만의 개체가 도래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위기종(EN)으로 평가했다.  

형태

몸길이 약 60cm, 눈은 검은색이고, 붉은색 부리 끝에 노란 점이 있다. 수컷의 머리와 목은 검은색이고 초록색 광택이 난다. 앞목에는 뒷가슴으로 이어지는 흰색 세로띠가 있다. 허리와 옆구리에 검은색 반달무늬가 있고 가슴은 흰색이다. 암컷 머리는 연한 갈색이며 수컷에 비해 댕기가 짧다. 등은 회색이다(원 1996; 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시베리아의 산악하천 상류 침엽수림대 및 숲이 우거진 강변 둑에 서식하며 중국 동북지방에서도 최근 번식이 확인되었다. 중국 동북지방에서 번식하는 개체들은 주로 중국 남부의 하천이나 호수에서 겨울을 난다. 각종 어류를 즐겨 먹고, 한배에 알을 8-10개 낳는다(원 1996; 이 등 2000).  

분포 현황

서울, 강릉, 경상북도, 산청, 제주도 등 주로 맑은 하천 및 육지와 인접한 해안에 국지적으로 소규모의 무리가 분포한다.  

번식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번식하지 않는 겨울철새다.  

서식지 동향

강원도, 대전, 경상북도 등지의 산악지역 맑은 하천에서 소수가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에서 51개체 이하(1999-2000년 0개체, 2001년 13개체, 2002년 2개체, 2003년 0개체, 2004년 1개체, 2005년 18개체, 2006년 51개체, 2007년 18개체, 2008년 12개체, 2009년 14개체, 2010년 10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환경부, 1999-2010). 지역적으로는 1988년 남대천에서 농약에 중독되어 쓰러진 1쌍이 관찰된 바 있으며, 2006년 경기도 가평 북한강에서 최대 46개체가 관찰된 바 있다. 충청남도에서는 1995년 2월 2개체, 1997년 1월 2개체, 3월 2개체가 관찰되었다. 경상북도 임하호에서도 2001년 1월 12개체가 관찰되었으며, 경상남도 산청군에서는 1996년 1월 2개체, 2000년 11월 30개체, 2001년 10월 20개체가 관찰되었다(박 2002). 제주도에서는 표선면 해안에서 2001년 1월 1개체가 관찰된 바 있으며, 최근에는 한강에서 2005년 2개체, 2008년 1월 2개체, 2009년 12월 2개체가 관찰되었다(문화재청 2006, 2007)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러시아 남동부와 몽골, 중국, 북한 등지에서 번식하며, 한반도에는 북쪽지역에서 일부 집단이 번식한다. 전 세계 2,500개체가 생존해 있으며, 감소추세에 있다(IUCN 2010).  

위협 요인

환경변화에 민감한 특성 때문에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물의 흐름이 빠른 강이나 하천, 호수, 저수지에서 하천정비 사업으로 인한 수심 및 유속의 변화에 의한 영향이 크다.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 Ⅱ급,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448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EN A1c 전 세계에 약 2,500개체가 있으며, 그 중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최대 51개체가 관찰된 이후 20개체 미만의 수가 관찰되고 있다. 비교적 맑은 담수에 서식하는 종으로 도래 개체수가 적고 서식환경도 제한적이며, 유속이 빠른 강, 하천 등지에서 하천정비 사업으로 서식지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IUCN 적색목록 분류 기준의 위기종(EN) A1c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문화재청. 2006. 2006년 천연기념물 모니터링. 문화재청. 124pp.
문화재청. 2007. 중장기 천연기념물(동물) 분포파악을 위한 조사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182pp.
박진영. 2002. 한국의 조류 현황과 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원병오. 1996. 한국의 조류. 교학사. 453p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환경부. 1997-2009.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1999-201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Mergus squamatus is has a very small population which is suspected to be undergoing a continuing and rapid decline as a result of habitate loss, illegal hunting and disturbance. It occurs irregularly with small numbers(usually 1 or 2 individuals, maximum 51 in 2006) in winter: Gangneung Namdaejeon, Bukhan river, Han river, Jeju Is., Sancheong-gun etc. It breeds in Khabarovsk, Amur, the Jewish Autonomous Region and Primorye in south-east Russia, North Korea and Heilongjiang, Jilin and Inner Mongolia in north-east China. The global breeding population is estimated at fewer than 2,500 individuals and declining. It meets the criteria for EN A1c.  
집필자 : 김창회(국립환경과학원), 송민정(한국환경생태연구소)

호사비오리
호사비오리
최순규
호사비오리
최순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