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고니

Cygnus olor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Mute Swan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425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Ⅰ급, 천연기념물 제201-3호

요약

고니류 중 월동 집단이 가장 적은 겨울철새다. 동해안의 석호를 중심으로 도래하는 개체로 1980년 국내관찰기록 중 가장 많은 145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으나, 1999년부터 2010년 겨울철 조류동시센서스를 통해 2002년 최대 29개체가 관찰되는 등 최근에는 그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주요 위협 요인은 호수 주변의 일주도로 조성 및 관광지 개발, 호수의 잦은 결빙 등이다. 도래 집단의 급격한 감소 및 개발에 따른 출현지역의 변화 등을 고려해 우리나라에서는 위기종(EN)으로 평가했다.  

형태

대형 물새류로 몸길이는 약 152cm, 몸 색깔은 암수 모두 흰색이다. 눈앞의 피부와 윗부리 기부 양쪽, 윗부리 기부의 큰 혹, 아래 부리는 검은색이다. 윗부리의 나머지 부분은 붉은색을 띤 황색이고 다리는 회색, 발톱은 갈색이다(원 1996; 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우리나라에서는 6·25전쟁을 경계로 해 찾아오는 수가 많이 줄어들었으며, 강원도 화진포에서 강릉 경포호에 걸쳐 최대 145개체의 무리가 찾아와 겨울을 난다. 이들은 동해의 해안선을 따라 남하했다가 이듬해 다시 북쪽으로 올라간다. 먹이를 찾을 때는 몸을 거꾸로 해 물속에 머리를 목까지 넣어 먹이를 찾아 먹는다. 번식은 갈대와 수생식물이 무성한 호수나 습지의 작은 섬에서 풀잎과 줄기 그리고 흙을 이용해 둥지를 만든다. 번식기는 4월 중순에서 5월이며, 한 번에 알을 5-7개 낳는다. 알 색깔은 청록색을 띤 흰색이다. 암컷이 주로 포란하며, 포란기간은 35-36일이다. 먹이는 수생식물을 주식으로 하고 수서동물도 먹는다(원 1996; 이 등 2000).  

분포 현황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의 해안가에 위치한 호수, 저수지, 강에 도래한다. 특히 동해안의 해안선을 따라 강원도 화진포호, 송지호, 경포호 등지에서 다른 고니류에 섞여 적은 무리가 월동했으나, 1990년대 들어 청초호에 더 이상 도래하지 않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송지호에도 도래하지 않는다. 1990년 중반 이후 경기도 남양만, 충청남도 천수만, 대호저수지, 경상북도 형산강, 고성지역 등 전라도와 경상도의 해안과 하천에서 적은 수가 발견되고 있다(김 등 2010).  

번식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번식하지 않으며 겨울철에 비정기적으로 도래하는 겨울철새다.  

서식지 동향

하구, 저수지, 호수 등지에 서식한다. 주요 서식지는 화진포호, 경포호 등이었으나 최근에는 화진포호와 천수만에서 드물게 관찰되고 있다.  

개체수 현황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에서 최대 29개체(1999-2001년 0개체, 2002년 29개체, 2003-2004년 0개체, 2005년 1개체, 2006-2008년 0개체, 2009년 6개체, 2010년 7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환경부, 1999-2010). 지역적으로는 강릉 경포호에서 1968년 1월에 24개체, 1974년 2월에 8개체가 관찰된 바 있으며, 속초 청초호에서 1977년 1월 12개체가 관찰되었다. 화진포호에서 1980년 1월 145개체가 관찰되어 국내 기록 중 최대였으며, 그 이후로는 개체수가 급감했다(원 1992, 1993; 박 2002; 문화재청 2009). 2000년도 이후에는 전라남도 고흥 정암저수지에서 2002년 4개체가 월동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2003년 12월 시화호 어섬과 터미섬 사이에서 4개체가 처음으로 관찰 된 바 있으며, 2005년 행주대교와 팔당댐 사이에서도 1개체가 관찰된 바 있다(이 등 2004; 문화재청 2006, 2007).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유럽 북부, 아프리카 북부, 러시아의 중남부, 몽골, 아시아 서남부, 한국, 일본,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야생 상태의 전 세계 개체수는 약 500,000개체이며, 동아시아 개체군은 1,000-3,000개체다. 중국에서 국가중점보호야생동물목록 2급으로 보호하고 있다(國務院 1988; BirdLife International 2001; Wetlands International 2002; 自然環境硏究センタ? 2002; IUCN 2010).  

위협 요인

화진포 호수 주변 일주도로 개통, 관광지 조성, 수변 갈대나 수초 제거 등 서식환경의 악화, 호수 주변 개발에 따른 인간의 호수 내 접근용이 등으로 먹이 활동 및 휴식에 영향을 주고 있어 도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그외 얕은 수심으로 인해 겨울철 호수 결빙이 잦아 종의 안정적인 서식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 Ⅰ급,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201-3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EN A1c 과거 동해안의 석호를 중심으로 1980년 최대 145개체가 관찰된 바 있는 겨울철새였으나 1999년부터 2010년 조사를 통해 국내에 도래하는 개체가 급감해 2010년에는 10개체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도래지역을 중심으로 급격한 개발에 의해 서식환경이 파괴됨으로써 도래 집단이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안정적으로 도래할 수 있는 호수 및 습지를 찾아 흩어져 관찰되는 양상을 보이는 점, 개발에 따른 호수 및 습지 등의 축소 시 도래집단이 사라질 가능성 등을 고려해 IUCN 적색목록 기준의 위기종(EN) A1c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BirdLife International. 2001. Threatened birds of Asia: The BirdLife International Red Data Book. Cambridge UK.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Wetlands International. 2002. Waterbird Population Estimates-Third Edition. Wetlands International Global Series No. 12, Wageningen, The Netherlands. pp.69.
國務院. 1988. 中國國家重點保護野生動物名簿. http://zh.wikipedia.org.
김창회, 강종현, 이윤경, 김동원, 서재화, 김명진. 2010.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멸종위기조류의 국내분포현황. 한국조류학회지, 17: 67-137.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2009. 천연기념물?명승-동물. pp.76.
문화재청. 2006. 2006년 천연기념물 모니터링. 문화재청. 124pp.
문화재청. 2007. 중장기 천연기념물(동물) 분포파악을 위한 조사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182pp.
원병오. 1992. 천연기념물: 동물편. 대원사. 392pp.
원병오. 1993. 한국의 새. 교학사. 447pp.
원병오. 1996. 한국의 조류. 교학사. 453pp.
이시완, 송민정, 이한수, 최종인. 2004. 시화간척지에 도래하는 물새류 현황 및 보전 방안. 한국습지학회지, 6(1): 73-87.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自然環境硏究センタ?. 2002. 改正?日本の絶滅のおそれのある(レッドデ?ブック)野生生物: 鳥類. 環境省. 日本. 278pp.
환경부. 1999-201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Cygnus olor is a species of swan, and occurs irregularly with small numbers in winter. It found mainly at Kungpo lake, Chungcho lake, Songji lake along the coast of East Sea. Hwajinpo lake is the largest winter site. Since early in the 1990, it didn't find at Chungcho lake, Songji lake. In the middle of the 1990, it found a small population in now site: Cheonsu bay, Daeho reservoir, Hyeongsan river, Goseong etc at Jeonra Province and Kyungsang Province. It was occurred maximum 145 in 1980, nowaday less then 10. The global total native population of Mute Swans is about 500,000 birds. And East Asia population is ablut 1,000-3,000 individuals. It meets the criteria for EN A1c.  
집필자 : 김창회(국립환경과학원), 송민정(한국환경생태연구소)

혹고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