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여새

Bombycilla japonica (Siebold, 1824)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Japanese Waxwing
  • 분류체계
    • - 참새목(Passeriformes) 여새과(Bombycill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준위협(NT)
  • IUCN범주 : 준위협(NT) 평가방법 보기

요약

머리깃이 길고 전체적으로 회갈색이며, 꼬리 끝에는 붉은색 띠가 있다. 전국 산림지대에 도래하나 해마다 관찰되는 개체수의 차이가 크다. 주요 번식지는 러시아 동부지역(야쿠츠쿠, 아무르)의 산림지대이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하는 종으로, 국제적으로 정확한 개체수 산정은 되지 않고 있다.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IUCN 분류군 위협 범위 평가 기준 및 국내 서식현황 적용 결과 준위협종(NT)으로 평가했다.  

형태

머리깃이 길며, 꼬리 끝에 붉은색 띠가 있다. 검은색 눈선은 뒤로 가며 넓어지며, 배 중앙은 흐린 노란색으로 보인다(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침엽수에 나뭇가지, 지의류, 풀 등으로 허술하고 평편한 접시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옅은 청색에 검은색 반점이 있는 알을 4-6개 낳는다. 포란기간은 15-16일이며 육추기간은 약 16일이다(원 1996).  

분포 현황

전국 산림지대에 도래하는 종이나 해마다 관찰되는 개체수의 차이가 크다.  

번식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번식하지 않는 겨울철새다.  

서식지 동향

국내 산림지대 특히 숲 가장자리, 도시의 정원과 공원, 침엽수림 등지에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전국적으로 드물지 않게 도래하나 황여새보다 도래 집단이 작고, 해에 따라 도래하는 개체수의 변화가 심하다. 1991년 속리산에서 20여 개체, 1996년 강원도 고성군에서 1개체, 1997년 해남에서 30개체, 순천만에서 6개체, 1999년 완도 보길도에서 6개체, 2000년도 흑산도에서 3개체가 확인된 기록이 있다(박 2002). 최근 기록으로는 2010년 5월 광양지역에서 20여 개체가 관찰되기도 했다.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주요 번식지는 러시아 동부지역(야쿠츠쿠, 아무르)의 산림지대이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하는 종으로, 국제적으로 정확한 개체수 산정은 되지 않고 있다(del Hoyo et al. 2005; IUCN 2010).  

위협 요인

개발로 인한 숲 서식지의 훼손 등으로 도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특기 사항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1998년 이후 5,390개체를 중국에서 유럽지역으로 수출한 것이 심각한 위협 요인으로 작용했다(IUCN 2010).  

평가 결과

NT IUCN 분류군 위협 범위 평가 기준 및 국내 서식현황 적용 결과 준위협종(NT)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del Hoyo, J., A. Elliott and Christie, D.A. eds. 2005.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10. Lynx Edicions, Barcelona. pp.316-317.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박진영. 2002. 한국의 조류 현황과 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pp.216-217.
원병오. 1996. 한국의 조류. 교학사. pp.287.  

영문초록

Bombycilla japonica is a fairly small passerine bird of the waxwing family found in north-east Asia. It feeds mainly on fruit and berries but also eats insects during the summer. The nest is a cup of twigs lined with grass and moss which is built in a tree. The species is listed in Annex D of the EU Wildlife Trade Regulations and therefore EU import levels are monitored. Since 1998, 5,390 wild individuals have been imported into EU countries alone, the majority exported from China, a level of trade that might be a significant threat to the species. It meets the criteria for NT.  
집필자 : 채희영(국립공원철새연구센터), 조해진(한국환경생태연구소)

홍여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