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기러기

Branta bernicla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Brent Goose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423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Ⅱ급, 천연기념물 제352-2호

요약

겨울철새로 주로 바닷가, 육지 깊숙이 바다가 들어온 곳, 해안의 얕은 곳에서 겨울을 지낸다. 매년 관찰되는 개체수의 변동이 크고, 도래 개체군의 크기가 안정적이지 않은 점을 고려해 취약종(VU)으로 평가했다.  

형태

암수 모두 머리와 목은 검은색으로 흰색 목띠가 있으며 곳곳에 검은색 얼룩무늬가 있다. 등, 어깨, 허리, 위꼬리덮깃은 어두운 갈색으로 허리 양쪽과 위꼬리덮깃의 양쪽 끝 부분은 흰색이다. 가슴은 검은색이며 배는 어두운 갈색으로 아래로 갈수록 엷은 색을 띤다. 옆구리는 어두운 갈색이며 각 깃털의 가장자리는 흰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원 1981).  

생물학적 특성

얕은 곳에서는 물속으로 머리를 넣어 먹이를 찾기도 하며 습한 이끼로 덮인 툰드라 지대의 호수, 갯벌의 강기슭, 강 하구에서 번식한다. 툰드라의 땅 위나 바위 사이에 이끼류를 이용해 접시모양으로 둥지를 만들고 6월 중순에 알을 3-8개 낳는다. 알은 회백색이다(문화재청 2009).  

분포 현황

국내 남해안 지역과 동해안 지역, 시화호, 제주도 등지에서 확인된다(이 등 2000, 원 1981).  

번식 현황

우리나라에서 번식하지 않는 겨울철새다.  

서식지 동향

우리나라 남해안과 중국의 해안에서 월동하는 집단으로 추정된다. 이동 시기에는 동·서해안에서도 관찰되며 주로 해상, 해만, 해안의 거칠거나 얕은 곳에서 지내는 데 때로는 하천, 호소, 간척지에도 내려앉는다(문화재청 2009).  

개체수 현황

1984년 1월 목포에서 진해 용원리에 이르는 곳에 700개체, 1987년 2월 부산시 다대포 해안에서 낙동강 하구 일원에 118개체, 남해안에서는 1,000개체 내외의 집단이 규칙적으로 도래했다. 강원도 속초 주변 해안(2000년 12개체, 2001년 20개체, 2003년 10개체, 2007년 1개체), 경기도 시화호(2001년 43개체, 2005년 4개체), 부산시 낙동강 하구(1999년 11개체, 2001년 328개체, 2004년 83개체, 2006년 2개체, 2007년 17개체), 제주도(1999년 1개체, 2001년과 2002년 각 2개체, 2004년 4개체) 등지에서도 불규칙하게 도래했다(문화재청 2009).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동아시아 지역에 1,700여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Wetlands International 2002).  

위협 요인

해조류, 수생식물, 패류가 주식이며, 최근 해안의 오염 및 매립 등으로 인해 먹이원이 축소되고 있다(문화재청 2009).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Ⅱ급,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352-2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VU C2a(ⅰ) 과거에는 1,000개체 이상이 도래했으나 현재는 개체군 크기가 줄어들어 취약종(VU) C2a(ⅰ)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Wetlands International. 2002. Waterbird Population Estimates-Third Edition. Wetlands International Global Series No. 12, Wageningen, The Netherlands. pp.74-75.
문화재청. 2009.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명승 동물. 문화재청. pp.142-143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pp.413-414.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pp.68-69.  

영문초록

Branta bernicla is large arable land that visit southern Korea in winter. It has restribution with a very small population in south coast. They feed on rise seeds in arable land. Wintering flocks observed at several sites in South coast, Busan, Sokcho, Shihwaho, Jeju-do. Nowaday,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required to conserve this species. It observed more then 150pairs at South coast until in 2001. It meets the criteria for VU C2a(ⅰ).  
집필자 : 김창회(국립환경과학원), 신용운(한국환경생태연구소)

흑기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