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죽지수리

Aquila heliaca Savigny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Imperial Eagle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615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취약(VU)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Ⅱ급

요약

우리나라의 강, 하구, 간척지 등 일부 지역에서만 관찰되는 겨울철새로, 1999년 16개체가 기록되었으며, 월동하는 개체수는 안정적이지 않고 매년 도래하는 개체수에 변동이 크다. 각종 개발로 인한 서식지의 축소로 보호가 요구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취약종(VU)로 평가했다.  

형태

전체적으로 흑갈색을 띤다. 뒷머리는 황갈색을 띤다. 어깨 일부분이 흰색이다. 꼬리 끝에 두꺼운 암갈색띠가 있다. 검독수리와 비슷하지만 꼬리가 짧다. 어린새는 온몸에 황갈색 반점이 산재한다(원 1981; 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농경지의 중앙 또는 숲 가장자리의 나무에 앉아 장시간 휴식하며, 공중을 돌면서 땅 위의 먹이를 찾는다. 먹이는 작은 포유류, 도마뱀, 뱀, 그리고 작은 물새류 등이다. 산비탈의 낙엽활엽수림에 둥지를 틀며, 매년 같은 둥지를 보수해 사용하므로 둥지는 점차 커진다. 흰색 또는 황백색 바탕에 붉은 갈색 무늬가 있는 알을 2-3개 낳는다(원 1981).  

분포 현황

경기도 파주, 강원도 철원, 충청남도 천수만,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 경상북도 형산강, 낙동강 하구 등 비교적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번식 현황

우리나라에서 번식하지 않는 겨울철새다.  

서식지 동향

우리나라의 하구, 간척 농경지, 대규모 저수지, 강 등의 개활지 및 평지에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관찰지역이 극히 제한적이며 관찰 빈도도 낮다. 월동기의 경우 1999년 16개체, 2000년 2개체, 2003년 1개체, 2006년 2개체, 2008년에 2개체, 2010년 2개체로 관찰되는 개체수가 소수이며, 안정적이지 않고 매년 도래하는 개체수의 변동이 크다(환경부 1999-2010).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러시아를 포함한 아시아의 생존 집단은 1990년경에 최소한 800-1,200쌍으로, 유럽의 생존 집단은 약 350쌍으로 추정되었고, 서러시아에 130-150쌍 등으로 유럽과 러시아에 대부분이 분포한다(del Hoyo et al. 1994).  

위협 요인

각종 개발로 인한 산림과 농경지의 감소 등 서식지의 축소와 먹이의 부족, 밀렵 등이 주요 위협 요인이다.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 Ⅱ급으로 지정·보호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해 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VU A1ac; D(1) 국내에 정기적으로 도래해 월동하는 개체군이 적고, 매년 관찰되는 개체수의 변동이 크고, 개체군 크기도 안정적이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우리나라에도 IUCN의 적색목록 분류 기준에 따라 취약종(VU) A1ac; D(1)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del Hoyo, J., A. Elliott and J. Sargatal. eds. 1994.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2. Lynx Edicions, Barcelona. pp.194-195.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pp.517-518.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pp.96.
환경부. 1999-201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Aquila heliaca is uncommon winter visitor in Korea. Stays in plains with isolated trees, in pine forests, and small woods. Builds nests with thick boughs on trees, usually at the top. Feeds on small mammals, snakes, birds. Asia population which include Russia was about 800-1200 pairs in 1990. In Europe, the non-Russian population has been estimated 350 pairs. Most of breeding population lives in Russia and Europe. This species has a small global population, and is likely to be undergoing continuing declines, primarily as a result of habitat loss and degradation, adult mortality through persecution and collison with powerlines, nest robbing and prey depletion. Through the winter birds census from 1999 to 2010, it occurs 1-16 individuals in South Korea. It observed a few individual every year. It meets the criteria for VU A1ac; D(1).  
집필자 : 박진영(국립환경과학원), 이한수(한국환경생태연구소)

흰죽지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