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야길앞잡이

Callytron brevipilosa (W. Horn, 190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곤충Ⅱ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91415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과거 경기, 강원, 충북, 전북 및 경북 지역 강변의 모래사장에서 풍부하게 서식했으나, 최근에는 강변 사구의 서식지 환경이 매우 악화되어 개체군과 개체수가 감소하는 추세이고, 최근 경기도 여주에서 소수 개체가 관찰된다.  

형태

몸길이는 12-13㎜이며, 몸은 청색을 띤 검은색이고 놋쇠빛 광택이 난다. 윗입술에는 앞가장자리 중앙부에 이빨 모양의 돌기가 1개 있고, 양 옆에 작은 이빨 모양의 돌기가 2개 있다. 딱지날개에는 무늬가 없고 양 측면은 평행하며 날개 끝은 둥글다.  

생물학적 특성

강변에서 주로 활동하며, 특히 모래와 자갈이 혼재된 움푹 패인 장소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민, 2000).  

분포 현황

과거 강원, 경기, 충북, 전북 및 경북 지역에서 분포했으나 근래에는 경기, 충북 및 전북 지역에서 서식이 확인되었고, 최근에는 경기도 여주에서 소수의 개체가 확인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강변 사구 환경의 급격한 훼손이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보존 현황

정보부족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VU A2ac; B1ab(i, iii) 강변의 사구 환경이 악화되면서 개체군과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VU A2ac; B1ab(i, iii)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김태흥, 백종철, 정규환. 2005. 한국산 길앞잡이(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 한국토양동물학회지, 10(1-2): 1-15.
민완기. 2000. 개야길앞잡이 추가 기록. Lucanus, 1: 2-3.
조복성. 1969. 한국동·식물도감, 제10권 동물편(곤충류II). 문교부. 970pp.
한국자연보존협회. 2001. 멸종위기 야생생물 및 보호야생생물의 지정현황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113: 42-49.
Kim, C.W. 1977. Distribution Atlas of Insects of Korea (Series 2, Coleoptera). Korea Univ. Press. Seoul, 414pp.  

영문초록

Callytron brevipilosa was formerly a common species living in riverside sands in South Korea. However, this species has been evaluated as a rare species, recently found only in Gyeonggi-do. The reason for its decline is the rapid destruction of sandy habitats in rivers.  
집필자 : 조영복(한남대학교), 민완기(서울교육문화회관)

개야길앞잡이
개야길앞잡이
장영철
개야길앞잡이
장영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