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조

Berchemia racemosa Siebold & Zucc.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관속식물
  • 분류체계
    • - 갈매나무과 Rhamnace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정보부족  

형태

낙엽활엽 덩굴식물로 난형 잎은 엇갈려 달리며, 7-8쌍의 맥이 다소 나란히 배열한다. 녹백색 꽃은 7-8월에 가지 끝에 달리는 원추화서에 무리지어 피며, 꽃잎은 5장이다. 수술은 5개로 꽃잎보다 길며,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익는다.  

생물학적 특성

정보부족  

분포 현황

전북 군산시 수원지에 야생하며, 주로 계곡 사이의 숲 속에서 자라며,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최근 국내 식물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해발 100m 이하 급경사지 해안사면의 미사질 양토에서 자란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현황

전북 군산 일대에서만 분포가 알려졌으며, 복원된 4개체를 포함해 전체 개체수는 200개체 미만이나 개화한 개체는 5개체에 불과하다. 기준 B2ab(iii); C2a(i, ii); D1에 따라 위급으로 평가되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평가하지 않아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한때 야생에서 절멸한 것으로 알려졌고, 그에 따라 복원사업이 진행되었다.  

보호 상황

종과 자생지에 대한 특별한 보호 대책은 없다. 단지 자생지가 공원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정보부족  

참고문헌

변무섭, 김영하. 2008. 청사조(Berchemia racemosa)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개체군 동태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 679-690. Chang, C.-S. 2007. Rhamnaceae,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영문초록

Berchemia racemosa , once considered extinct in the wild, was rediscovered in Jeollabuk-do with less than 200 individuals. Of them, only 5 plants were the flowered ones.  

청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