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오갈피

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W. W. Sm.) S. Y. Hu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관속식물
  • 분류체계
    • - 두릅나무과 Araliace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정보부족  

형태

덩굴성 떨기나무로 가지가 많이 달리며, 아래쪽 에는 폭이 넓은 삼각형 가시가 있다. 낙엽성 잎은 2-3장 씩 어긋나게 모여 달리며, 5장의 잔잎이 손바닥 모양이 다. 녹색 꽃은 4-6월에 가지 끝에 달리는 산방화서에 무 리지어 피며, 열매는 7-10월에 핵과로 익는다.  

생물학적 특성

정보부족  

분포 현황

제주도 고유종으로 알려져 왔으나, 중국의 서부, 남부 및 동부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제주도 바닷가로부터 해발 1,400m에 이르는 계 곡이나 숲속에 자란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현황

제주도 10 곳 정도에서 발견되었고, 개체수 도 비교적 풍부했나, 최근 약용식물로 약효가 알려지면 서, 과거 자생지로 보고된 일부 장소에서는 찾아보기 어 려운 상태가 되었다. 중국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평가 하지 않았다. B2ab(iii).  

보호 상황

일부 자생지가 상수원보호구역을 설정되어 사람들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을 뿐 종과 생육지에 대 한 적절한 보호 대책은 없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정보부족  

참고문헌

김철환. 1997. 오갈피나무속 및 근연속(두릅나무과)의 분류. 전북대학교 이학박사학위 논문.
박소영. 2005. 약이 되는 나무-섬오갈피나무. 산림 2005(7): 112-114.
임병선, 이점숙, 김하송. 1999. 지리산오갈피와 섬오갈피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 125-132.  

영문초록

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is widely distributed from the lowland to 1,400 m in Mt. Halla, Jeju-do. It has been extensively collected for the medicinal purpose.  

섬오갈피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