꺽저기

Coreoperca kawamebari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영명 : Japanese aucha perch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58306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남해로 흐르는 탐진강과 그 주변 하천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육식성 소형 어류다. 유속이 느리며 모래와 자갈이 깔린 수초가 많은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산업발달로 인한 수질오염, 댐 건설 등으로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했다.  

형태

체장은 13cm 내외이며, 체형은 방추형으로 머리와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가 높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22-24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2개, 새파수 18-19개 및 척추골수 27-30개다. 입은 크고 하악이 상악보다 약간 길며 주둥이는 끝이 뾰족하다(김 1997). 전새개골 후연에 작은 거치가 있다. 새개골 후연 반점 부위에 뾰족한 가시가 2개 있다. 아가미 뒤에는 안경만한 파란 점이 있으며 주둥이 끝에서 등지느러미 시작 부분까지 옅은 갈색 줄이 있다(김과 박 2007).  

생물학적 특성

바닥에 모래와 자갈이 깔리고 수초가 많이 자라며 물 흐름이 느린 하천 중류나 호수에 서식하며, 수서 곤충, 육상 곤충, 작은 물고기 등을 먹는다(이와 노 2006). 산란기는 5-6월이고, 산란장은 저면이 모래나 자갈밭으로 형성된 물 흐름이 완만하고 수심이 1m 이하의 얕은 곳으로 수초가 우거진 곳의 사초와 식물 줄기를 주로 이용했다. 포란수는 350-755개, 난경은 2.21-2.65mm이며, 수온 18.2-22.0℃에서 수정 194시간 만에 부화한다. 부화된 자어는 5.09-5.68mm이며 수정된 알은 부화한 후 자어기까지 수컷이 계속 보호한다. 부화 후 1일째 자어는 전장 5.25-5.79mm, 5일째 6.12-6.68mm, 8일째 7.22-7.39mm, 13일째 8.12-8.44mm, 17-18일째 8.72-9.42mm, 22일째 10.27-12.05mm, 32일째 11.45-14.20mm로 성장한다. 체형이나 반문이 성어와 완전히 닮아 치어기로 이행하는 시기부터 영역을 설정하는 텃세 행동이 관찰되었다(Imai and Nakahara 1957, 한 등 2000).  

분포 현황

우리나라 서해, 남해 및 동해 남부로 흐르는 여러 하천에 서식했다(정 1977). 탐진강과 그 주변 하천 및 낙동강, 거제도 일부 하천에 분포했으나, 현재는 탐진강과 그 인접 하천에만 분포한다(이와 노 2006, 최 등 2009).  

번식 현황

자연 분포하는 지역에서는 대부분 산란이 가능하며, 모래나 자갈밭으로 형성되고 물 흐름이 완만한 곳에서 번식한다. 탐진강에서는 산란 중인 개체가 자주 발견된다.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일본의 쿄토, 후쿠야마 및 산요의 유하강 큐슈 지쿠젠 상류에 분포한다(정 1977).  

위협 요인

농약,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과 무분별한 하상공사, 대규모 하천의 시설공사(댐 및 보) 및 골재채취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했다(황과 최 1995). 탐진강은 탐진댐이 건설되고 다수의 보가 만들어진 이후 서식지가 조각화되었다.  

특기 사항

환경부는 1997년 보호종으로 지정·보호했으나, 2005년 멸종위기야생동식물법 제정 시 해제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EN B2ab(i,ii,iii,iv) 현재 탐진강 및 인근 하천에서만 서식하고 있다. 점유면적이 500km2 이하이므로 EN B2ab(i,ii,iii,iv)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Imai, S. and Nakahara, K. 1957. Life history of Coreoperca kawamebari (Temminck and Schlegel). Fisheries, pp. 591-601.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김익수, 박종영. 2007.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최규태, 변형호, 박훈구, 원진안. 2009. 거제도 담수어류상과 분포상의 특징 연구. 제55회 전국과학전람회.
한경호, 박준택, 김병무, 오성현, 이성훈, 진동수. 2000. 한국산 꺽저기 (Coreoperca kawamebari)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12: 129-136.
환경부. 1997-2009. 전국자연환경조사. 담수어류.
황영진, 최충길. 1995. 탐진강 수계의 어류상에 관해. 한국어류학회지 7: 135-139.  

영문초록

The Japanese aucha perch, Coreoperca kawamebari is a carnivorous centropomid fish and limitedly distributed in the Tamjin River drainage and its nearby streams in Korea. This species is often found at stream edge where water flows slowly, water weeds or stream-side plants colonize and bottom covers with gravels. However, recent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channel improvement, water pollution and dam construction have resulted in dramatic decline of its natural habitats.  
집필자 : 이완옥(중앙내수면연구소)

꺽저기
꺽저기
이흥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