꺽정이

Trachidermus fasciatus Heckel, 1837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영명 : Roughskin sculpin
  • 분류체계
    •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둑중개과(Cottidae)
  • KTSN : 120000058226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서해와 남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하류, 기수역, 하구 등에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다. 유속이 느리며 하상은 모래, 펄, 자갈 등으로 구성된 곳에 서식한다. 최근 하천정비, 수질오염, 하구언 공사 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했다.  

형태

체장은 보통 10-20cm이며, 체형은 원통형으로 길고 옆으로 납작하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26-28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5-18개, 새파수 7-9개 및 척추골수 35-37개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고 입은 크고 전새개골 뒤쪽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4개 있다. 몸 전체에는 작은 소극이 분포하며 옆줄은 완전하고 약간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다. 눈은 작으며 눈 아래와 뒤 부분에 뚜렷한 골질 융기연이 발달되어 있다. 위턱, 아래턱, 보습뼈, 구개골 등에 이빨이 나있다. 등쪽은 흑갈색이고 배쪽은 흰색이다. 등쪽과 체측에는 불규칙한 흑갈색 구름무늬가 4-5개 있다. 산란기에는 암수 모두 아가미막과 뒷지느러미 기부에 붉은색이 나타난다(김 1997, 최 등 2002).  

생물학적 특성

유속이 다소 느린 자갈, 모래, 펄 등으로 형성된 하천 하류역, 기수역 및 하구역에 서식하며 갑각류와 소형 동물을 먹는다. 치어는 기수역에서 표층과 중층을 유영하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전장 30mm 이상 되면 저서생활을 하며 낮에는 자갈이나 돌 밑에 숨어 지내며 밤에 갑각류와 소형 동물을 먹는다. 웅어, 꾹저구, 민물검정망둑, 민물두줄망둑, 풀망둑, 숭어 등과 공서하는 경우가 많다. 산란기는 2-3월이고 기수역이나 간석지에서 조개껍데기 안쪽에 알을 붙인다. 수컷이 알을 보호하며, 부화하면 전장이 13.5mm 정도가 되며 난황은 흡수된 상태다. 전장 27mm가 되면 성어와 같은 모습이 되며 1년생은 전장이 120mm, 2년생은 170mm 이상 성장한다. 대부분 2년이면 성장이 끝난다. 산란과 방정이 끝나면 죽는다(김 등 2005, 최 등 2002).  

분포 현황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의 하구, 기수역, 연안 등에 분포한다.  

번식 현황

하천 하류 기수역이나 간석지에서 조개껍데기에 알을 붙인다.  

서식지 동향

하천 하류역 기수역과 간석지에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북한의 신의주, 남포 등과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김 1997).  

위협 요인

하천정비, 수질오염, 하구언공사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LC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의 하류역과 기수역에 비교적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다(환경부 1997-2009). 수환경 변화에 적응력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2002. 개정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환경부. 1997-2009. 전국자연환경조사. 담수어류.  

영문초록

The roughskin sculpin, Trachidermus fasciatus is benthic cottid fish and distributed in the lower stream, blackish water, and estuary running into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This species inhabits the sandy, muddy and gravel bottom with slow flow velocity. Recent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stream improvement, water pollution and damming in estuary resulted in rapid decline of its natural habitats.  
집필자 : 변화근(서원대학교)

꺽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