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잠자리

Nannophya pygmaea Rambur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곤충Ⅲ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37396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

요약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잠자리 중 하나로 수심이 낮은 산지의 용출 습지에 주로 분포하나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군 및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  

형태

유충의 전체 크기는 8-9㎜이다. 몸은 작고 타원형이며 배 길이는 폭 길이보다 약간 더 길다. 몸 색깔은 녹색이다. 머리는 폭이 넓은 사각형이며 겹눈 부위가 넓다. 더듬이는 7마디로 머리길이보다 짧고 굵다. 배8-9마디 에 옆가시가 발달했으며 등가시는 없다. 성숙한 수컷의 유충은 두 번째 배마디 밑에 검은 점 같은 생식기가 나타난다. 성충의 크기는 15-17㎜이다. 성숙한 수컷의 몸 색깔은 선명한 붉은색을 띠며 암컷의 몸 색깔은 황색과 갈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생물학적 특성

유충은 주로 샘솟는 물이 있는 수심이 얕은 산지 습지나 습원에서 서식하며, 서식지의 일시적 건조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 유충은 종령 상태로 월동하며 생활사는 1년 1세대다. 우화는 5월 하순부터 시작하며 8월 하순경까지 관찰된다.  

분포 현황

전국적으로 일부 산지습지 또는 휴경 논에서 많이 발견되어 개체군이 확대되고 있으나 이는 휴경 논 증가에 따른 일시적인 증가로 파악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원 서식지인 산지의 용출 습지는 도시화, 산업화 등으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휴경 논 증가의 영향으로 2000년대 초반 개체군 및 개체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휴경 논이 육화(陸化)되며 습지 기능을 상실하면 개체군 및 개체수가 급감하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조사와 관찰이 필요한 종이다.  

보존 현황

정보부족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VU A3cd; B2ab(ii, iii) 현재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개체군 및 개체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나 향후 대체 서식지인 휴경 논 등의 감소로 급격한 감소가 예상된다. 따라서 VU A3cd; B2ba(ii, iii)로 평가했으며 추후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상위 범주로의 조정 가능성이 크다.  

참고문헌

국립환경과학원. 2001-2008.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환경부.
배연재, 이병훈. 2001. 한국 하천생태계의 환경 훼손과 담수 절지동물의 생물다양성 피해 및 보전. 한국곤충학회지 31(2): 63-76.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수서곤충류. 문교부. 840pp.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pp.
이종은, 정광수. 2012. 한국의 곤충 제4권 2호 잠자리류. 환경부. 82pp.
정광수. 2012. 한국의 잠자리. 자연과 생태. 272pp.
정광수. 2011. 한국 잠자리 유충. 자연과 생태. 399pp.
환경부. 2011. 한반도 내륙산 멸종위기 및 희귀 무척추동물의 정밀 실태조사와 보전지위 평가기술개발. 환경기술진흥원. 495pp.  

영문초록

Nannophya pygmaea is one of the smallest dragonfly in the world. The habitat of this species is shallow wetlands in mountainous areas. Nowadays, its populations are rapidly decreasing due to destruction of habitats. This species is now designated as a Class II Endangered Species in Korea.  
집필자 : 윤태중(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정광수(한국잠자리연구소), 배연재(고려대학교)

꼬마잠자리
꼬마잠자리
고민수
꼬마잠자리
고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