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영명 : Korean stumpy bullhead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57701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고유종으로 낙동강 수계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저서성 소형 어류다. 물이 맑고 자갈이 많은 하천 중·상류에 주로 서식한다. 최근 태풍과 폭우로 인한 수해복구사업의 영향으로 서식지 파괴가 심각한 실정이다.  

형태

체장은 10cm 이상 자라며, 체형은 짧고 옆으로 납작하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9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5-20개, 새파수 10-13개 및 척추골수 35-39개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며, 주둥이는 짧고 둥글다. 수염은 4쌍이 있으며, 가슴지느러미의 가시는 전후에 거치가 있고 꼬리지느러미의 가운데가 약간 안쪽으로 패여 있다. 아가미, 등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가 끝나는 지점에는 탈색된 듯한 반점이 등에서 배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꼬리지느러미 시작 부분에는 반달 모양의 옅은 반점이 있다(김 1997).  

생물학적 특성

수심 30-60cm의 자갈이나 큰 돌이 있는 하천 중·상류의 유속이 느린 맑은 여울에 주로 서식한다. 야간에 수서 곤충, 갑각류, 어란 등을 주로 먹는다. 산란기는 6-7월이고, 포란수는 200-250개, 난경은 장축이 1.45-1.93mm이며 단축은 1.45-1.82mm이다. 부화는 수온 24℃에서 수정 50시간 만에 이루어져(강 등 2007) 동자개에 비해 다소 늦었다(강과 이 1995). 부화된 자어는 평균 5.9±0.2mm이다. 수염에는 작은 돌기가 발달되어 부화 장소인 수초에 점착된 상태로 머물 수 있어 포식을 피하고 산소가 풍부한 수층부에서 머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Balon 1975).  

분포 현황

고유종으로 신종 발표 당시 금강과 낙동강에 분포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2009년 환경부의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서식지를 면밀히 조사한 결과 낙동강 수계의 남강 일부 지역인 함양, 산청, 단성과 금호강의 영천, 고령에서만 확인되었다(문화재청 2009, 이 2004).  

번식 현황

낙동강 수계의 남강 수역에서 번식지에 대한 조사 결과 하상공사 등으로 번식지의 파괴가 우려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문화재청 2009).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현재는 남강 일부 지역인 함양, 산청, 영천, 단성 및 고령에서만 수십 개체씩 발견될 뿐이다(문화재청 2009).  

분류학적 특성

Mori (1936)에 의해 Coreobagrus brevicorpus로 신종 보고되었으나, Lee and Kim (1990)이 Pseudobagrus속으로 전속시켰다.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농약,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 수해복구, 도로 건설, 다리 건설 등의 무분별한 하상공사 및 골재채취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심각한 실정이다.  

특기 사항

문화재청은 2005년에 천연기념물 제455호로 지정했다. 한편 환경부는 1997년 멸종위기종, 2005년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급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EN B2ab(i,ii,iii,iv) 낙동강 수계 전역의 중·상류 13개 지역에서 분포했으나, 최근 서식지가 급격히 줄어서 남강 유역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점유면적이 500km2 이하이므로 EN B2ab(i,ii,iii,iv)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Balon, E.K. 1975. Reproductive guilds of fishes: a proposal and definition. Journal of the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32: 821-863.
Lee, C.L. and Kim, I.S. 1990. A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Bagridae (Pisces: Siluriformes)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 117-137.
Mori, T. 1936. Descriptions of one new genus and three new species of Siluroidae from Chosen. Zoological Magazine, Tokyo 48: 671-675 (Pl. 24).
강언종, 양현, 이흥헌, 조용청, 김응오, 임상구, 방인철. 2007.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생태와 초기 생활사. 환경생물학회지 25: 378-384.
강언종, 이철호. 1995.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Pisces, Bagridae)의 초개 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8: 83-89.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문화재청. 2009. 천연기념물 어류 서식현황 기초조사. 생물다양성연구소.
이충렬. 2004. 한국의 멸종 위기 및 희귀어류 현황과 보존 - 꼬치동자개. 2004년 한국어류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심포지엄 발표요약집, pp. 17-27.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환경부. 1997-2009. 전국자연환경조사. 담수어류.
환경부. 2009. 감돌고기 증식?복원 연구. 환경부.  

영문초록

The Korean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endemic to Korea is a small, benthic bagrid species and limitedly distributed in the Naktong River drainage. This species inhabits the pebble and small rock bottom with slow flow velocity. However, its natural habitats have been declined and seriously deteriorated due to recent channel improvement. It now only occurs in the Nam River, a tributary of the Naktong River drainage.  
집필자 : 이완옥(중앙내수면연구소)

꼬치동자개
꼬치동자개
이흥헌
꼬치동자개
이흥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