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슴도치

<em>Erinaceus amurensis </em> Schrenk, 1859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포유류
  • 영명 : Amur Hedgehog
  • 분류체계
    • - 식충목(Insectivora) 고슴도치과(Erinaceidae)
  • KTSN : 120000053230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요약

고슴도치는 고슴도치과에 속하는 동물 중에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유일한 종이다. 서식지 파괴 등에 의해 개체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종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형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식충류 중에서 가장 대형이다. 머리와 몸통의 길이는 205-250㎜, 꼬리의 길이는 20.0-33.5㎜, 귀의 길이는 19.0-24.0㎜, 뒷발의 길이는 33.0-42.0㎜이다. 몸통의 등과 옆구리에 가시와 같은 조직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생물학적 특성

야행성 포유류이며, 식이 습성은 절지동물에서부터 조류의 알, 뱀, 과실까지 다양하게 잡아먹는 잡식성이다. 단독으로 생활하며, 산림이나 농경지 등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서식한다.  

분포 현황

러시아 연해주 지역, 중국 동북지방에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도로 건설 등에 의한 서식지 단절과 과거 한방 약제로 이용되어 개체군 밀도가 급감한 종이다. 번식기에는 로드킬 당한 개체가 종종 관찰되고 있다.  

개체수 현황

개체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없어 개체수 추정이 어려우나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성

한반도에 분포하고 있는 고슴도치를 아종인 E. a. koreensis로 분류하기도 하나, 현재까지 분류학적 위치에 관한 상세한 연구가 미흡하다.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번식기에는 로드킬이나 밀렵에 의한 개체수 감소가 예상된다. 최근 외래종이 도입되어 교잡종이 생길 우려가 있어 외래종 관리가 필요하며, 생태계 교란위협이 있는 종이다.  

특기 사항

1989년 한국자연보존협회에서 지정한 희귀 및 위기 동물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지정된 바 있으나 1997년 환경부 지정 자연환경보전법상의 멸종위기종 및 보호대상종에서 제외되었고, 2001년에 한국자연보존협회 법정 보호대상종 포유류 후보종에서도 제외된 바 있다.  

평가 결과

LC 전국에 걸쳐 아직도 비교적 흔하게, 특히 경북 및 강원에서 흔히 발견되고 있으나, 로드킬과 밀렵에 의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IUCN과 중국에서도 관심대상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김정호. 1999. 경상북도 지역의 포유류 분포. 동국대학교 이학석사학위 논문.
원병오. 1992. 천연기념물 동물편. 대원사.
원병휘. 1967. 한국동식물도감 제7권 동물편(포유류). 문교부.
원병휘, 이해풍. 1971. 한국산 포유동물의 생태에 관한 연구. 동국대 농림과학연구소 4: 173-186.
원홍구. 1968. 조선짐승류지. 과학원출판사.
윤명희, 한상훈, 오홍식, 김장근. 2004. 한국의 포유동물. 동방미디어, 서울.
이정일. 1989. 경상북도 포유동물 분포에 관한 기초 연구. 동국논집 8: 385-419.
이정일. 1993. 강원도 포유동물의 분포 밀도에 관한 기초 연구. 동국논집 12: 49-78.
Tsytsulina, K. 2008. Erinaceus amurensis . In: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Won, C. 1996. Mammals of Korea: Current status and zoogeography. Ph.D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Arkansas.  

영문초록

Erinaceus amurensis was common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t is still locally common. However, the number of populations has been declined because of excessive trapping for folk medicine and as pets.  
집필자 : 오홍식(제주대학교)

고슴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