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밤달팽이

Parasitala miyanagai Kuroda & Hukuda, 1944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울릉도밤달팽이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유폐목 >> 밤달팽이과 >> 울릉도밤달팽이속
    • - MOLLUSCA >> GASTROPODA >> EUPULMONATA >> HELICARIONIDAE >> Parasital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취약(VU) B2ab(ii)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국 특산종으로 경상북도 울릉도가 모식산지이며, 현재까지 울릉도 이외 지역에서 발견된 기록은 없다. 울릉도의 습하고 울창한 숲속의 잔돌 틈이나 낙엽 아래에서 서식하며, 서식지가 매우 제한적으로 협소하며, 출현빈도가 낮다.  

분류학적 특징

패각 형태는 나탑이 다소 높은 원추형으로, 나층은 5층이다. 껍데기는 매우 얇고, 반투명한 회갈색을 띤다. 각정은 둥글고, 패각 전면에는 미세한 성장맥이 있으며 약한 광택이 있다. 체층은 크고 가장자리 중앙에는 각이 있다. 체층 아랫면은 완만하게 둥글다. 봉합은 얕은 편이지만 각 나층의 구별은 뚜렷하다. 각 나층의 부푼 정도는 매우 약하고 각폭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각구는 체층 가장자리 가운데에 접하고, 형태는 반원형으로 크다. 각구 가장자리는 두꺼워지거나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축순은 비스듬하며 저순은 둥글다. 제공은 좁고 얕게 열려 있다. 성체의 크기는 각고 4.5㎜, 각경 4.5㎜ 정도다. 생활사와 발생방법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분포현황

울릉도가 모식산지인 한국 특산종이다. 현재까지 울릉도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Kuroda and Hukuda(1944)에 의해 경상북도 울릉도에서 채집되어 신종으로 발표된,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가 모식산지다. 울릉도의 습하고 울창한 숲속의 잔돌 틈이나 낙엽 아래에서 서식한다.  

위협요인

남획 우려는 없으나 환경변화와 산림개발, 경작지 확대 등의 서식처 파괴가 주요 위협 요인이다.

원기재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