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점박이푸른부전나비

Maculinea alcon (Denis & Schiffermuller, 1776)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잔점박이푸른부전나비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부전나비과 >> 점박이푸른부전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LYCAENIDAE >> MACULINE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반도에는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산지와 강가의 초지대 등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종으로 개체수는 적다. 남한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국외에는 유라시아 각지에 국지적 분포를 한다. 아종으로는 M. a. jeniseiensis (Shjeljuzhko, 1928) (Loc. S. Siberia), M. a. alcon (Loc. C. Europe), M. a. xerophila Berger, 1946(Loc. S. Europe), M. a. sevastos Rebel & Zerny, 1931(Loc. Carpathians)의 4아종이 알려져 있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 중순부터 7월에 걸쳐 나타난다. 수컷 날개 윗면은 청람색 바탕에, 외연부의 흑갈색 테두리는 넓으며, 중앙부에 작은 검은색 점들이 있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청람색 부위가 좁다. 현재의 국명은 조복성(1959: 64)에 의한 것이며, 북한명은 북방점배기숫돌나비이다.  

분류학적 특징

날개편 길이 32-33mm로 부전나비 무리 중에서 보통 크기다. 수컷 날개 윗면은 청람색 바탕에, 외연부의 흑갈색 테두리는 넓으며, 중앙부에 작은 검은색 점들이 있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청람색 부위가 좁다. 수컷 날개 아랫면은 어두운 흑갈색 바탕에 중앙부에 뚜렷한 검은색 점들이 있다. 암컷 날개 아랫면은 회백색을 띤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 중순부터 7월에 걸쳐 나타난다. 한반도에서는 먹이식물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유럽과 러시아에서는 용담과 식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나도빗개미, 어리뿔개미, 빗개미와 상호공생 관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Jang, Y.J., 2007: 33).  

분포현황

한반도 북부, 유라시아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산지 및 강가 등의 초지대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Denis & Schiffermuller (1776). Wien. Verz.: 182. no. 4.

참고문헌

잔점박이푸른부전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