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줄망둑

Acentrogobius pellidebilis Lee & Kim, 1992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점줄망둑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척삭동물문 >> 조기강 >> 농어목 >> 망둑어과 >> Acentrogobius
    • - CHORDATA >> ACTINOPTERYGII >> PERCIFORMES >> GOBIIDAE >> Acentrogobi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몸은 길고 약간 측편되어 있다. 체색은 약한 갈색 바탕에 등쪽과 체측은 어둡고 배쪽은 밝은색이다. 아가미 위쪽에는 어두운 갈색 반점이 있다. 몸과 머리 옆면에 은색 점이 나타나고 체측 중앙에 5개의 반점이 있다. 위턱, 아래턱 모두 단일 송곳니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뒤로 뾰족하다. 제2차 성징에서 수컷은 생식돌기가 뾰족하고, 암컷은 잘린 듯한 형태이다. 비늘은 목덜미, 아가미 뚜껑, 가슴과 배에서는 원린(둥근비늘)이고, 몸의 뒷부분은 즐린(빗비늘)이다. 수심이 30m 정도인 연안에 서식한다. 전라북도, 전라남도(서해안, 남해안)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분류학적 특징

체장은 7cm 내외이며, 체형은 길쭉하고 옆으로 납작하다. 제1등지느러미 기조수 6개, 제2등지느러미 기조수 11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1개 및 척추골수 26개다. 머리는 옆으로 납작하고 수염이 없다. 입은 작고 악골에는 이빨이 있으나 서골과 구개골에는 없다. 목, 아가미덮개 및 가슴지느러미 부분은 원린으로 덮여 있고 가슴지느러미 끝에서 수직 상방의 뒤쪽으로는 즐린이 있는데 이들 비늘은 뒤쪽으로 갈수록 커진다. 살아 있을 때에는 몸과 머리의 옆면에 작은 은색 점이 여러 개 있으나 고정된 표본에서는 이러한 반점은 사라지고 몸의 측면 중앙에 5개의 암점이 있다. 제1등지러미의 기조막에는 암갈색 줄이 있다(김 1997). 수심 30m 정도의 진흙 바닥인 조간대와 하구의 웅덩이에서 서식하며, 봄과 여름철에 하구의 낭장망에 많은 양이 포획된다. 산란기는 이른 여름으로 추정된다(김 1997).  

분포현황

고유종으로 신종으로 기재될 때 서해와 남해 연안과 영암, 목포, 홍성, 여천, 신안, 웅포, 김제, 부안 지역의 강 하구에 분포했다(Lee and Kim 1992). 신종 기재 이후 1-2개체씩만 간혹 채집되고 있다(Lee and Kim 1992).

서식지 / 생육지 특성

강 하구와 조간대 펄 지역에서 서식한다.  

위협요인

하구둑 건설, 대규모 간척사업 및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로 인한 수질오염 등으로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점줄망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