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혹달팽이

Chamalycaeus kurodai (Pilsbry & Hirase, 190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제주혹달팽이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고설목 >> 혹달팽이과 >> 혹달팽이속
    • - MOLLUSCA >> GASTROPODA >> ARCHITAENIOGLOSSA >> ALYCAEIDAE >> Chamalycae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취약(VU) B2b(i,ii)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가 모식산지다. 남방계 종으로 제주도와 남해안 도서지역과 내장산까지 북상해 분포한다. 석회질이 많은 약간 건조한 지역의 잔돌 사이에 서식한다. 환경변화와 서식지 파괴로 출현 개체수가 감소되었다.  

분류학적 특징

패각 형태는 나탑이 낮은 원추형으로 나층은 4층이다. 껍데기는 연한 황백색이고 각정 부분은 적갈색을 띤다. 패각 전면에 촘촘하고 규칙적인 성장륵이 있다. 봉합이 깊어 나관이 뚜렷하고 각 나층이 둥글다. 체층은 크고 가장자리와 아랫면이 둥글다. 각구는 체층 아랫면에 접하고, 둥근 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넓게 퍼진다. 뚜껑은 혁질이며 다선형이다. 각구 뒤쪽 체층과 차체층 사이의 봉합에 부속 돌기가 붙어 있고, 각구 뒤쪽 체층의 일부가 융기된 고리모양을 이룬다. 성체의 크기는 각고 2㎜, 각경 5㎜ 정도다 자세한 생활사와 발생방법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분포현황

혹달팽이속(Chamalycaeus)의 패류는 남중국, 일본 남부, 대만 등지에 분포하는 남방계 패류다. 본 종은 한국 특산종으로 Pilsbry and Hirase(1908a) 에 의해 제주도에서 채집되어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제주도와 진도, 흑산도, 충무, 여수 등 남부 해안 지방에 주로 분포하고 내장산까지 북상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석회질이 많은 다소 건조한 토양의 돌 틈 사이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남획 우려는 없으나, 환경변화와 산림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주요 위협 요인이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제주혹달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