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물고둥

Hydatina physis (Linnaeus, 175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줄물고둥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두순목 >> 물고둥과 >> HYDATINA
    • - MOLLUSCA >> GASTROPODA >> CEPHALASPIDEA >> HYDATINIDAE >> HYDATIN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정보부족(DD)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껍질 크기는 높이 28.5mm, 껍질 지름 20mm이다. 껍질은 백색 바탕에 흑색의 가는 나선이 있으며, 간혹 성장선을 따라 드문드문 흑색 세로줄 무늬를 형성한다. 껍질 입구(殼口)는 크고 내순(內脣)과 축순(軸脣)에 활층(滑層)이 있다. 축순은 젖혀져서 제공(臍孔; 나선관이 성장함에 따라 중심에 생기는 빈 곳)을 덮고 있으나 제공은 길고 뚜렷하게 열려 있다. 날개 모양의 연체는 대단히 크며 연분홍색을 띤다. 조간대나 얕은 바다의 해조류가 밀생하는 모래 바닥에 서식한다. 제주도 연안, 일본, 인도. 태평양, 하와이, 남아프리카 연안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패각에는 백색 바탕에 흑색의 가는 나선이 있으며 간혹 성장선을 따라 드문드문 흑색 세로줄 무늬를 형성한다. 각구는 크고 내순과 축순에 활층이 있고 저순은 넓게 벌어져 있으며 외순은 넓게 만곡 한다. 축순이 젖혀져서 제공을 덮고 있으나 제공은 길고 뚜렷하게 열려 있다. 날개 모양의 연체는 대단히 크며 연분홍색을 띤다. 크기: 각고 28.5mm, 각경 20mm.  

분포현황

제주도 연안, 일본, 인도, 태평양, 하와이, 남아프리카 연안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조간대나 천해의 해조류가 밀생하는 모랫바닥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수산 자원으로의 가치가 높고, 수집 및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아 남획 우려가 높은 종이다.

원기재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