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곡고사리

Dryopteris subexaltata (H. Christ) C. Chr.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계곡고사리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관중과 >> 관중속
    • - PTERIDOPHYTA >> POLYPODIOPSIDA >> POLYPODIALES >> DRYOPTERIDACEAE >> Dryopteri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제주도에 자라며,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부 이남지역과 대만에 자란다. 상록성으로 엽병은 기부에 인편이 빽빽이 붙지만 상부에서는 매우 드물게 성글게 붙는다. 엽신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1회 또는 2회 우상복엽이이다. 우편은 기부우편이 삼각상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소우편은 타원형이고, 우축으로 흘러 날개로 된다. 최종열편의 측맥은 1-2회 차상으로 분지하한다. 포자낭군은 중륵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1열로 붙는다. 본 분류군은 비교적 최근에 제주도에서 확인된 남방계식물로 드물다.  

분류학적 특징

상록성으로 엽병은 기부에 인편이 빽빽이 붙지만 상부에서는 매우 드물게 성글게 붙는다. 엽신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1회 또는 2회 우상복엽이이다. 우편은 기부우편이 삼각상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소우편은 타원형이고, 우축으로 흘러 날개로 된다. 최종열편의 측맥은 1-2회 차상으로 분지하한다. 포자낭군은 중륵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1열로 붙는다.  

분포현황

제주도 수악계곡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2002년 국내 미기록 식물로 보고되었으나 이후 제주시, 조천읍 등지에서도 추가로 발견되었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상록수림 내 계곡을 따라 습기가 있는 바위 겉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참고문헌

계곡고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