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다슬기

Semisulcospira coreana v. Martens, 1886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참다슬기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흡강목 >> 다슬기과 >> 다슬기속
    • - MOLLUSCA >> GASTROPODA >> SORBEOCONCHA >> PLEUROCERIDAE >> Semisulcospir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준위협(NT)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패각은 방추형으로 각고는 17-28mm이며 체층이 3/4을 차지한다. 나탑은 5-6층이나 보통 마모되어 3-4층만 남는다. 각피는 황갈색이나 녹황색이다. 나층에는 나선맥과 성장맥이 교차하여 과립을 형성한다. 그러나 나층의 기부에서는 과립이 희미하다. 각구는 방추형이며 끝은 예리하다. 외순은 얇고 만곡되어 있으며 축순은 두껍고 흰색을 나타낸다. 물이 깨끗하고 유속은 높지 않으며 바닥에는 잔자갈이 깔려 있는 하천의 중·하류에 서식한다. 한국에 분포하며, 광주, 전주, 임진강, 전남 탕진강, 금산, 전북(관촌, 김제읍, 신태인읍, 산외), 남한강, 북한강에서 채집된다.  

분류학적 특징

패각은 방추형으로 각정을 제외하고 나층은 4층이다. 황갈색이나 녹황색이다. 각고는 17-28mm이며 체층이 3/4를 차지한다. 나층에는 나선맥과 확연한 성장맥이 교차하여 과립을 형성한다. 그러나 나층의 기부에서는 과립이 약하다. 나탑의 가장 윗부분은 각정의 바로 근처에 위치한다. 각구는 방추형이며 끝은 예리하다. 외순은 얇고 만곡되어 있으며 축순은 두껍고 흰색을 나타낸다.  

분포현황

금산, 전라북도 관촌, 김제읍, 신태인읍, 산외 남한강, 북한강)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수질은 양호하고 유속은 높지 않으며 바닥에는 잔자갈이 깔려 있는 하천의 중,하류지역에 서식한다. 자웅이체이며 난태생을 한다.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참고문헌

참다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