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세줄나비

Neptis philyroides Staudinger, 1887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참세줄나비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세줄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NYMPHALIDAE >> NEPTI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반도에는 산지를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종으로서 개체수는 적다. 제주도 및 남부지역 해안가나 도서들에서는 관찰되지 않으나, 서해안 도서들인 강화도, 장봉도, 신도, 교동도에서는 관찰된다. 국외에는 러시아, 중국 동부, 타이완에 분포한다. 아종으로는 N. p. philyroides (Loc. Amur, Ussuri), N. p. sonani Murayama, 1941 (Loc. Taiwan), N. p. simingshana Murayama, 1980 (Loc. Zhejiang (China)), N. p. maotai Yoshino, 1997 (Loc. Guizhou (China))의 4아종이 알려져 있다. 연 1회 발생하며, 5월 하순부터 8월에 걸쳐 나타난다. 개체수는 적은 편이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날개의 윗면은 검은색을 띠며, 흰색의 무늬가 잘 발달한다. 앞날개 윗면 중실부에 있는 긴 흰색의 사선 무늬가 매끄러워 왕세줄나비와 구별되며, 앞날개 전연 중앙부에 작은 2개의 흰색 점무늬가 있어 유사종인 세줄나비와 쉽게 구별된다. 현재의 국명은 김헌규와 미승우(1956: 398)에 의한 것이며, 북한명은 산세줄나비이다.  

분류학적 특징

날개편 길이 55-62mm로 세줄나비 무리 중에서 큰 편이다. 날개의 윗면은 검은색을 띠며, 흰색의 무늬가 잘 발달한다. 앞날개 윗면 중실부에 있는 긴 흰색의 사선 무늬는 매끄럽다. 뒷날개 윗면 중앙부와 아외연부에는 넓은 흰색 띠가 있다. 앞날개 아랫면은 적갈색 바탕색에 후연부는 중앙부까지는 흑갈색을 띠고, 무늬는 윗면과 비슷하다. 암컷은 수컷보다 날개의 폭이 현저히 넓고, 외연이 둥근모양이다. 앞날개 윗면 중실부에 있는 긴 흰색의 사선 무늬가 매끄러워 왕세줄나비와 구별되며, 앞날개 전연 중앙부에 작은 2개의 흰색 점무늬가 있어 유사종인 세줄나비와 쉽게 구별된다. 연 1회 발생하며, 5월 하순부터 8월에 걸쳐 나타난다. 개체수는 적은 편이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대부분 산지내 활엽수림 및 숲 가장자리에서 활동한다. 꽃에 모이지 않으며, 간혹 과일, 배설물 등을 빨아먹거나, 습기가 있는 지면에 잘 앉는다. 먹이식물은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까치박달, 서어나무, 개암나무, 참개암나무, 물개암나무의 고로쇠나무, 단풍나무이다.  

분포현황

한반도 전역에 국지 분포(제주도 및 남부지역 해안가 제외), 러시아, 중국 동부, 타이완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산지의 계곡부 잡목림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Staudinger (1887). in Romanoff, Mem. Lepid. 3: 146.

참고문헌

참세줄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