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진목

Amelanchier asiatica (Siebold & Zucc.) Endl. ex Walp.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채진목
  • 이명 : 독요나무
  • 분류체계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아강 >> 장미목 >> 장미과 >> 채진목속
    • - MAGNOLIOPHYTA >> MAGNOLIOPSIDA >> ROSIDAE >> ROSALES >> ROSACEAE >> Amelanchier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위기(EN) B2ab(iv)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낙엽성으로 높이 5-10m에 이르며 수피는 회백색이다. 가지는 가늘고 길며 적갈색이고 둥근 피목이 산재한다. 잎은 어긋나며 엽신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에 예두,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4-8cm, 폭 2.5-4cm로서 얕은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짧은 가지 끝에서 나오는 산방상 총상화서로 4-5월에 백색으로 핀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 5개, 수술은 20개이고 암술대는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이과(梨果)로 지름이 1cm로 둥글며 9-11월에 암자색으로 익는다. 열매의 끝에는 꽃받침이 붙어 있다. 독요나무라고도 부른다. 한국(제주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낙엽활엽 관목 또는 교목으로 높이 10m에 이른다. 수피는 어두운 흑색이다. 난형 또는 장타원형 잎은 엇갈려 달리며, 길이 4-8cm이다. 하얀색 꽃은 4-5월에 새가지 끝에 달리는 총상화서에 무리지어 피며, 처음에는 화서축에 털이 달린다. 열매는 이과로 익는다. 한라산 해발 700-1,000m의 낙엽활엽수림대에 드물게 자란다.  

분포현황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하며, 일본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가로수나 정원수로 심고 있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정보부족  

위협요인

제주에만 분포하며, 개체수가 매우 적은 편이나 자생지 붕괴, 관상용이나 약용 개발 가능성으로 위험에 처해 있다. 종 및 자생지에 특별한 보호 방안은 없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채진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