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고둥

Conus fulmen Reeve, 1843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청자고둥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NEOGASTROPODA >> 청자고둥과 >> 청자고둥속
    • - MOLLUSCA >> GASTROPODA >> NEOGASTROPODA >> CONIDAE >> Con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정보부족(DD)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개요

조간대에서 수심 50m의 잔자갈 바닥에 서식한다. 크기는 각고 70mm, 각경 35mm이며 나층은 10층이나 나탑이 낮다. 두터운 갈색 각피에 진한 황갈색 점으로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암갈색 띠를 이룬다. 체층에는 미세한 나구가 있고 발달되지 않은 붕대 주위에는 굵은 나륵이 있다. 체층에는 둔한 견각이 있다. 제주 연안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크기는 각고 70mm, 각경 35mm이며 나층은 10층이나 나탑이 낮다. 두터운 갈색 각피에 진한 황갈색 점으로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암갈색 띠를 이룬다. 체층에는 미세한 나구가 있고 발달되지 않은 붕대 주위에는 굵은 나륵이 있다. 체층에는 둔한 견각이 있다. 각구는 좁고 길며 아래 방향으로 가면서 차츰 넓어진다. 외순 연은 얇고 각구 내면은 연한 보라색을 띤다. 각피가 벗겨지면 담자갈색 바탕에 흑자색 구름무늬가 나타난다. 체층 중앙부에 연한 자색의 넓은 띠가 나타나는 개체도 있다. 여름에 사각형 모양의 연분홍색 얇은 알주머니를 줄지어 낳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청자고둥 [靑瓷─] (두산백과)  

분포현황

제주도 연안, 일본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조간대에서 수심 50m의 잔자갈 바닥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