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조

Berchemia racemosa Siebold & Zucc.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청사조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아강 >> 갈매나무목 >> 갈매나무과 >> 망개나무속
    • - MAGNOLIOPHYTA >> MAGNOLIOPSIDA >> ROSIDAE >> RHAMNALES >> RHAMNACEAE >> Berchemi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위기(EN) B2ab(iii);C2a(i,ii);D1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드물게 자라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잎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흰색이며 7-8쌍의 측맥이 뚜렷하며 잎자루는 붉은빛을 띤다. 녹백색의 꽃이 8월경에 총상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열편은 5개이며 좁은 삼각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작고 수술은 5개로서 꽃잎보다 길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는 핵과로 장타원형이며 검게 익는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낙엽활엽 덩굴식물로 난형 잎은 엇갈려 달리며, 7-8쌍의 맥이 다소 나란히 배열한다. 녹백색꽃은 7-8월에 가지 끝에 달리는 원추화서에 무리지어 피며, 꽃잎은 5장이다. 수술은 5개로 꽃잎보다 길며,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익는다. 해발 100m 이하 급경사지 해안사면의 미사질 양토에서 자란다.  

분포현황

전북 군산시 수원지에 야생하며, 주로 계곡 사이의 숲 속에서 자라며,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최근 국내 식물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숲 속 또는 산골짜기  

위협요인

전북 군산 일대에서만 분포가 알려졌으며, 복원된 4개체를 포함해 전체 개체수는 200개체 미만이나 개화한 개체는 5개체에 불과하다. 종과 자생지에 대한 특별한 보호 대책은 없다. 단지 자생지가 공원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청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