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백나무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측백나무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나자식물문 >> 소나무강 >> 측백나무목 >> 측백나무과 >> 측백나무속
    • - PINOPHYTA >> PINOPSIDA >> CUPRESSALES >> CUPRESSACEAE >> Platyclad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준위협(NT) 평가방법 보기

개요

상록침엽교목으로 높이 25m, 지름 1m에 이른다. 흔히 관목상을 이루며 수형은 원추형이다. 수피는 적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갈라지며 벗겨진다. 어린 가지는 녹색으로 납작하다. 잎은 비늘 모양으로 V자나 X자 모양으로 겹겹이 배열하며 폭이 2-2.5mm 로 뒷면에 작은 줄이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암수한그루이다. 수꽃은 길이 2-2.5mm 정도이고 갈색이다.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꽃은 8개의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연한 자갈색이고 구형이다. 구과는 난형이다. 절벽지나 석회암지대에 잘 자란다. 내한성, 내건성, 내공해성이 강하다. 관상수로 이용가치가 높다. 충북 단양, 대구 등 몇 곳에 자생하고 있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상록침엽교목, 수고 25m, 직경 1m, 수피 회갈색, 세로로 갈라짐, 가지는 인엽으로 4열생. 자웅동주. 수꽃은 전년지 끝에 1개, 길이 2-2.5mm, 10개의 인편, 각 2-4개의 꽃밥, 화경이 짧음. 암꽃은 구형, 지름 2mm, 연한 자갈색, 8개의 인편. 구과는 길이 15-20mm, 난형, 8개의 실편이 교호 대생. 종자는 한 실편에 2-3개, 한 열매에 2-6(보통 6)개, 타원형 또는 난형, 첨두, 길이 5mm, 흑갈색으로 9-10월에 성숙. 잎은 비늘 모양, 중앙부의 것은 도란형, 옆의 것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 잎의 폭은 2-2.5mm, 뒷면에는 작은 줄이 있음  

분포현황

천연기념물 제1호인 대구 달성의 측백수림을 비롯해 개체군 및 개체수는 많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정보부족  

위협요인

석회암 지대 개발로 인해 위협에 직면해 있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측백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