칡부엉이

Asio otus (Linnaeus, 175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칡부엉이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척삭동물문 >> 조강 >> 올빼미목 >> 올빼미과 >> 칡부엉이속
    • - CHORDATA >> AVES >> STRIGIFORMES >> STRIGIDAE >> Asio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개요

우리나라에는 드문 겨울철새로 몸길이 약 38cm이다. 귀깃이 길며, 눈은 주황색이다. 몸의 윗면은 누런 갈색과 짙은 갈색으로 얼룩져 있고, 아랫배에는 가로줄이 섞인 굵은 세로 줄무늬가 있다. 야행성 조류이고 주로 소나무 숲에서 무리지어 겨울을 난다. 번식기는 5월 중순에서 하순이며 둥지는 잡목 숲 속에 있는 매나 말똥가리 등의 옛 둥지를 이용한다. 한배 산란 수는 4-6개이다. 포란은 암컷이 하며,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들쥐, 작은 들새, 곤충을 먹는다. 유럽, 시베리아 남부, 내몽골, 중국 북동부, 일본 등지의 구북구 한대와 온대에 분포하며 겨울에는 중국 남부나 인도 북부, 이란 등지로 내려가 겨울을 난다. 천연기념물 제324호로 지정되어 있다.  

분류학적 특징

귀깃이 길며, 눈은 주황색이다. 배에는 가로줄이 섞인 굵은 세로 줄무늬가 있다. 깃털색의 변화가 비교적 심하다. 꼬리는 연한 갈색이며 끝 부분에 얇고 진한 갈색 줄무늬가 있다(이 등 2000). 번식기는 5월 중순에서 하순이며 둥지는 잡목 숲 속에 있는 매나 말똥가리 등의 옛 둥지를 이용한다. 한배 산란 수는 4-6개이며, 알은 흰색이다. 포란기간은 26-28일이며, 육추기간은 23-24일이다. 포란은 암컷이 하며,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운반한다. 주로 들쥐를 먹으며, 작은 들새, 곤충도 먹는다(문화재청 2009).  

분포현황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드물게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는 드문 겨울철새로서 1999년과 2000년도에 충청남도 서산 간월호 지역에서 5개체, 3개체가 관찰된 기록이 있으며, 2005년도에 낙동강 하구에서 3개체,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지역에서 1개체가 관찰된 기록이 있다. 또한 과거 198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경희대 교내의 소나무 숲에 매년 규칙적으로 20-30개체가 도래해 월동한 기록이 있다. 야행성 조류여서 정확한 개체수 산정은 어려우며, 우리나라에는 아주 드물게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문화재청 2009; 환경부 1999-2010; 환경부 2000-2006). 유라시아 대륙의 온대지역, 북아메리카 등 신북구와 구북구에 넓게 분포한다. 전 세계 번식 개체수는 380,000-810,000쌍, 개체수는 1,140,000-2,430,000로 추정하고 있다(del Hoyo et al. 1999; IUCN 2010).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번식하며, 우리나라에는 번식사례가 없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주로 전국의 소나무 숲에서 여러 개체를 관찰할 수 있으며, 낮에는 거의 활동하지 않으며, 밤에 활발히 활동한다. 초지, 습지, 과수원 등을 둘러싸고 있는 작은 숲과 잡목림이 있는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문화재청 2009).  

위협요인

최근 산림훼손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축소되고 있으며, 먹이 활동을 하는 농경지와 개활 초지, 산림의 임연부 등이 훼손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IUCN 2010).

원기재문

    Linnaeus (1758). Syst. Nat. ed. 10, 1, p. 92. (Sweden).

참고문헌

칡부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