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 Kim & Kim, 1990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칼납자루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척삭동물문 >> 조기강 >> 잉어목 >> 잉어과 >> 납자루속
    • - CHORDATA >> ACTINOPTERYGII >> CYPRINIFORMES >> CYPRINIDAE >> Acheilognath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금강에서부터 그 이남의 서해로 흐르는 하천과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으로, 몸길이 5-8cm 정도의 소형 어종이나 10cm가 넘는 개체도 가끔 출현한다. 하천 중류의 흐름이 느리고 수초가 많은 곳에서 산다. 잡식성으로 수서곤충이나 부착조류를 주로 먹는다. 산란철은 5-6월로 서식처의 바닥에 사는 조개의 아가미실에 산란한다. 만 1년에 3-5cm, 2년에 6-7cm, 3년에 8cm 정도로 성장한다(김, 1997).  

분류학적 특징

체장은 5-8cm이며, 체형은 좌우로 납작하고 체고는 높은 편이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11-12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3개, 새파수 8-10개, 측선 비늘수 34-36개 및 척추골수 29-33개다(김 1997). 입가에는 비교적 긴 수염 1쌍이 있으며, 몸 측면에는 암색 반점이나 반문이 없다. 몸의 등 쪽은 암갈색 또는 암녹색이며 복부 쪽으로 갈수록 옅어진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부부터 황갈색과 흑색 띠가 반복된다. 꼬리지느러미는 담황색이다. 수컷의 혼인색은 몸통의 녹갈색이 진해지고 가슴과 미병부는 황색이 현저해 지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무늬가 선명해 진다(Kim and Kim 1990, 김 1997). 유속이 완만한 하천의 수초가 많고 돌이 있는 곳을 선호한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수서곤충, 부착조류 등을 먹는다. 산란기는 4-6월경이고, 산란관을 이용해 말조개, 작은말조개와 같은 이매패의 아가미 안에 산란한다. 아가미 안에 산란된 알은 난괴를 형성하기도 한다. 성숙란은 긴 타원형으로 평균 장경 4.66mm, 단경 1.49mm이다. 약 22℃에서 수정 후 약 47시간부터 부화하기 시작하며 전장은 5.54mm이다. 약 22일에 전장 9.87mm로 자유유영기에 도달한다(Suzuki and Jeon 1988). 1년생은 체장 40-50mm, 2년생은 50mm 이상으로 성장해 성적으로 성숙하고, 암컷이 수컷에 비해 작은 편이다(양 2004). 말조개, 작은말조개와 같은 이매패류의 아가미 안에 산란한다.  

분포현황

고유종으로 금강 이남의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금강,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탐진강, 섬진강, 낙동강 등에 서식한다(환경부 1997-2009). 말조개, 작은말조개와 같은 이매패류의 아가미 안에 산란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비교적 유속이 완만한 하천의 수초가 많고 돌이 있는 곳을 선호하며, 서식지에는 산란숙주조개가 함께 서식하고 있다.  

위협요인

이매패의 아가미 안에 산란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산란을 위한 숙주조개의 서식 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하상공사, 골재채취 등에 의한 수환경과 하상 교란으로 어류는 물론 이매패의 서식지가 위협을 받고 있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칼납자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