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톱치

Coreius heterodon (Bleeker)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케톱치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척삭동물문 >> 조기강 >> 잉어목 >> 잉어과 >> 케톱치(코레이우스)속
    • - CHORDATA >> ACTINOPTERYGII >> CYPRINIFORMES >> CYPRINIDAE >> Corei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몸길이 약 25cm이다.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매우 작고 납작하다. 작은 눈은 머리 위쪽 앞부분에 있고, 콧구멍은 커서 주둥이 끝과 눈의 뒤쪽 가장자리의 중간에 있다. 수염은 매우 길어서 전새개골(前?蓋骨)에 이르거나 그보다 더 길게 뻗는다. 배지느러미 기점은 등지느러미 기점의 바로 아래에 있다. 측선은 완전하며 직선이다. 체색은 등 쪽이 회갈색이고 옆구리와 배 쪽은 연한 색이다.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뒷지느러미는 연한 노란색이고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흐린 검은색이다. 강의 중, 하류에서 주로 서식하며 산란을 위해 상류로 이동한다. 1900년대 초반 한강에서 최초로 출현이 보고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출현 기록이 없다. 중국의 양쯔 강 수계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체형은 길지만 앞쪽은 비교적 통통하고 뒤쪽은 납작하다. 머리는 매우 작고 납작하다. 작은 눈은 머리 위쪽 앞부분에 있고, 비공은 커서 문단과 눈의 뒤쪽 가장자리의 중간에 있다. 수염은 매우 길어서 전새개골에 이르거나 그보다 더 지나간다. 두 눈 사이 거리의 중앙부는 볼록하다. 배지느러미 기점은 등지느러미 기점의 바로 아래에 있다. 측선은 완전하며 직선이다. 전장은 약 25cm이다(김 등 2005). 모래무지아과 종들 중에서 비교적 대형이다. 강 중·하류에서 주로 서식하며 산란을 위해 상류로 이동한다. 자어와 치어는 성장과 성숙을 위해 강 하류로 내려간다(Liao et al. 2006).  

분포현황

인천 제물포(한강)에서 두 마리가 채집된 기록이 있다(Jordan and Starks 1905). 중국 북부의 황하강(黃河江)과 양자강(揚子江) 수계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으나(Bleeker 1865), 현재 양자강에만 서식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정보부족  

위협요인

중국에서 산업적으로 중요한 종으로 취급되지만, 최근 댐 건설과 남획, 오염 때문에 그 자원양이 급격히 감소했다(Liao et al. 2006, Li et al. 2008).

원기재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