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재첩

Corbicula fenouilliana Heude, 1883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콩재첩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백합아강 >> 백합목 >> 재첩속
    • - MAGNOLIOPHYTA >> LILIOPSIDA >> LILIIDAE >> LILIALES >> CORBICUL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위기(EN) A1(a,c);B1ab(i)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강과 금강 기수지역에 다산했던 기수성 이매패류다. 현재는 한강 하류 기수지역에서 드물게 출현한다. 수질과 저질 환경변화로 서식처가 축소되고 개체수가 격감해 위기종(EN)으로 평가했다.  

분류학적 특징

패각 형태는 둥그스름한 삼각형이다. 각정은 패각 중앙에 위치하고 크게 두드러지거나 돌출하지 않는다. 껍데기는 얇은 편이며, 광택 나는 황색 각피에 덮여 있다. 패각 표면에는 뚜렷한 윤맥이 형성되고, 규칙적이고 매우 촘촘한 고운 성장맥이 나타난다. 태각 부근은 각피가 마모되어 황백색을 띤다. 패각의 앞뒤 등선이 직선상이나 뒤쪽이 앞쪽보다 좁다. 패각 내면은 백색이고 수관구와 배선 부위는 연한 보라색을 띤다. 주치는 3개이고 가장 앞쪽의 주치는 흔적만 있다. 측치는 길게 좁은 판상으로 발달한다. 우각은 전후 측치가 2개씩, 좌각은 1개씩 나타난다. 전후 폐각근 흔과 외흔이 뚜렷하다. 성체의 크기는 각장 35㎜, 각고 30㎜ 정도다. 난생으로 D상 유생은 기생생활을 거치지 않고 직접 유패로 변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서식 종에 대한 정확한 생활사와 발생방법 등은 아직 연구된 바 없다. 원 국명은 콩조개였으나 재첩과 패류의 국명을 일치하기 위해 권(1990)에 의해 콩재첩으로 변경되었다.  

분포현황

과거 한강과 금강 하구역에서 채집기록이 있으나, 근래 금강에서의 채집된 보고는 없다. 한강 유역은 광장리, 덕소, 행주 지역까지 다산했으나 현재는 서식하지 않고 기수영향을 받는 한강 하류지역에서 드물게 출현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저질이 잔모래로 이루어지며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강 하구 등의 기수 지역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수중보와 하구언 공사로 인한 해수 유입 차단이 주요 위협 요인이다.

원기재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