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 didyma Roding, 179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큰구슬우렁이
  • 이명 : 큰구슬우렁
  • 분류체계
    •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흡강목 >> 구슬우렁이 과 >> 큰구슬우렁속
    • - MOLLUSCA >> GASTROPODA >> SORBEOCONCHA >> NATICIDAE >> Glossaulax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우렁이, 골뱅이 등으로 부르며, 가장 흔히 식용하는 종으로, 예전에 캔에 넣어 판매하던 골뱅이는 대부분 이 종이다. 요즘은 각시수랑을 많이 쓴다. 껍질은 위에서 보았을 때 둥글며 전반적으로 황갈색과 적갈색을 띠는데, 나사선 주변과 껍질 아래는 흰색을 띤다. 크기는 보통 넓이가 5-7cm 내외로 개체의 변이가 심하다. 영명으로는 "ball moon snail"이다. 우리나라에는 이 속에 모두 4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큰구슬우렁이를 모식으로 하여 다시 3종의 아종, G. d. ampla(높은탑큰구슬우렁이), G. d. hosoyai(덮인배꼽큰구슬우렁이), G. d. hayashi(높은탑이색구슬우렁이)을 가지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Polinices didyma 1종만이 인정되고 있다. 보통 7-10월에 산란하며 조간대에서 수심 50m 모래지대에서 주로 서식한다. 모래 해안가에서 조개에 둥근 구멍이 나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대부분 큰수슬우렁이가 먹이를 먹기 위해 치설로 구멍을 낸 것이다.  

분류학적 특징

몸의 크기는 높이 5-9cm, 넓이 8-12cm 범위이다. 패각은 둥글며, 몸의 탑은 6층이지만 첫 번째 층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표면은 보통 황갈색이나 패각의 아랫부분은 백색을 띠고 다소 불규칙한 성장맥이 나타난다. 패각의 입구는 계란형이며, 입구 안쪽으로 백색의 층이 있다. 패각 아래쪽 입구 아래에는 구멍(제공)이 넓고 깊게 열려 있다. 입구의 내면은 광택이 있는 백색과 갈색이 혼합된 얼룩무늬를 이룬다. 형태적으로 높은탑큰구슬우렁이(Glossaulax didyma ampla)와 매우 유사하지만 큰구슬우렁이의 탑이 다소 낮다. 조간대에서 수심 50m까지에 서식하며, 순 모래지역보다는 펄 성분이 있는 모래지대를 선호한다. 보통 7-10월에 산란하는데, 알집은 모래와 섞여 얇은 도자기 그릇처럼 매끈하고, 흔히 조간대 모래에서 볼 수 있다. 연체부가 매우 커서 패각의 2배 이상이며, 바닥을 길 때에는 패각의 일부만 보인다. 대표적인 육식성 복족류로서 조개나 고둥의 패각에 구멍을 뚫어서 잡아먹는다.  

분포현황

강원도 속초, 강릉, 경상북도 울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통영, 남해, 삼천포, 전라남도 여수, 완도, 전라북도 변산, 충청남도 태안, 외연도, 인천광역시 백령도, 덕적도 등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중국, 인도-태평양, 아프리카 남동부 등에 분포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조간대에서 수심 50m까지의 모랫바닥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Roding (1798). Museum Boltenianum sive catalogus cimeloriume tribus regins naturae quae olim collegerat Jao. Fried. Bolten, M. D. p. d. per XL. Annos Protophysicus Hamburgensis, pars secunda contknens conchylia sive testacea univalvia, bivalvia.

참고문헌

큰구슬우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