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논병아리

Podiceps grisegena holboellii Reinhardt, 1853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큰논병아리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척삭동물문 >> 조강 >> 논병아리목 >> 논병아리과 >> 뿔논병아리속
    • - CHORDATA >> AVES >> PODICIPEDIFORMES >> PODICIPEDIDAE >> Podicep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준위협(NT)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개요

우리나라를 찾는 겨울철새로 몸길이 약 47cm이다. 우리나라 해안에 주로 분포한다. 여름깃은 머리꼭대기에서 눈 밑까지는 검고 멱과 뺨은 회색, 목은 짙은 밤색이다. 등과 옆구리는 어두운 회색이고 몸 아랫면은 흰색이다. 겨울깃에서는 목의 밤색 부분이 사라진다. 우리나라 동해안과 석호, 간척호수, 서해안의 저수지, 남해안과 제주도 등에 서식한다. 번식지에서는 호수나 습지의 갈대밭에 둥지를 틀고 6월-8월 상순에 알 3-6개를 낳는다. 어류, 개구리, 갑각류, 연체동물, 수서곤충 등을 먹는다. 캄차카, 시베리아 동부, 만주, 사할린, 홋카이도, 북아메리카 등에서 번식한다.  

분류학적 특징

논병아리류 중에서 대형 종이다. 눈동자가 검고 부리는 어두운 갈색, 부리 기부는 노란색이다. 겨울깃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이며, 목 부분의 짙은 밤색은 사라진다. 여름깃의 머리꼭대기부터 눈 밑까지는 검고 멱과 뺨은 회색, 목은 짙은 밤색이다(원 1981; 이 등 2000).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에서 회색머리아비와 큰회색머리아비 무리에 간혹 1개체씩 섞여 겨울을 보낸다. 혼자 또는 암수가 함께 바다 위나 만에서 겨울을 지내며, 내륙의 호수나 강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번식지에서는 호수나 습지의 갈대밭에 둥지를 틀고 6월에서 8월 상순(보통 6-7월)에 알 3-6개를 낳는다. 어류(황어), 개구리, 갑각류, 연체동물, 수서곤충 등을 잡아먹는다(원 1981; 이 등 2000).  

분포현황

우리나라 동해안의 간성, 대진, 양양, 속초, 울진 등의 해안과 서해안의 태안 해안, 고흥의 해창만, 예당저수지, 낙동강 하류, 제주도 해안에 분포한다. 과거에는 개체수가 적었으나 최근에는 1,600여 개체로 증가했다. 1999년의 경우 예당저수지에서 1개체 기록이 있으며, 2001년에는 동해안과 해창만 등에서 52개체, 2004년에 40여 개체, 2006년 300여 개체, 2008년 40여 개체, 2010년 1,600여 개체로 지난 10년간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증가했다(환경부 1999-2010). 캄차카, 시베리아 동부, 만주, 사할린, 홋카이도, 북아메리카 등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개체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없으며, 현재까지는 개체수가 많아 관심대상종으로 취급해 보호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번식하지 않고 겨울에 월동하는 겨울철새이며, 캄차카 반도, 시베리아 동부, 만주, 사할린, 홋카이도, 북아메리카 등에서 번식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우리나라 동해안과 석호, 간척호수, 서해안의 저수지, 남해안과 제주도 등에 서식한다. 동해안의 간성, 대진, 양양, 속초, 울진 등의 해안과 서해안의 태안 해안, 예당저수지, 낙동강 하류, 제주도 해안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어망에 걸려서 익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기름 유출에 의한 오염 등이 위협 요인이다. 특히 동해안과 서해안 일대에는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정치망에 있는 어류를 먹기 위해 들어갔다 혼획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외에도 우리나라에 2007년 태안의 기름유출 사고와 같은 크고 작은 기름유출로 먹이원 고갈, 깃이 기름에 오염되어 날아오르지 못하는 문제 등이 죽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PCBs나 DDT 등의 오염에 의해 무정란 산란, 알 껍질이 얇아지는 등의 위협 요인이 있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큰논병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