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보꼬리박각시

Sphecodima caudata (Bremer & Grey, 1852)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털보꼬리박각시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박각시과 >> SPHECODIMA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SPHINGIDAE >> SPHECODIM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준위협(NT) NT B1b(i)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박각시과에 속한다. 이 종은 강원도,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에서 채집기록이 있으며,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가 매우 적다. 출현정보가 희박해 생활사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분류학적 특징

몸과 날개는 흑갈색이고, 더듬이는 등황색인데 기부는 약간 암색이다. 가슴에는 긴 털이 밀생했다. 배에는 담색의 가락지 모양 무늬가 있으나, 불분명하다. 꼬리술은 등황색이고 좌우로 구분되어 있다. 앞날개는 약간 자색을 띤 흑갈색이고, 톱니 모양의 종횡선이 2줄 있으며, 이의 안쪽에는 굵은 가로줄이 뚜렷하게 보인다. 굵고 뚜렷한 2줄의 아기선이 있으나, 후연까지 달하지 못하고 소실된다. 앞날개 끝은 넓게 담색이며, 후연각은 예리하게 돌출했, 돌출부에는 농색 줄무늬가 2줄 있다.  

분포현황

강원도,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에서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날개 편 길이는 61-67㎜. 남한에서는 경기도와 강원도, 전북 등에서 국지적으로 채집되고 있으나 기록은 많지 않다. 부속도서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는 시베리아 동부와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북부에 분포한다. 성충은 5월에서 7월에 걸쳐 나타난다. 신(2001)은 경기도 광릉에서 바나나를 먹이로 한 행깅트랩(hanging trap)을 저녁에 설치했다가 아침에 트랩에 들어있는 성충을 채집했고, 야간에 수액이나 과실즙을 빠는 것으로 생각된다(신, 2001).  

위협요인

개체의 크기가 크고 화려한 날개무늬로 인해 채집압력이 높은 종으로 출현정보가 많지 않다.

원기재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