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탑달팽이

Discus pauper (Gould, 1859)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평탑달팽이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유폐목 >> 납작평달팽이과 >> 평탑달팽이속
    • - MOLLUSCA >> GASTROPODA >> EUPULMONATA >> DISCIDAE >> Disc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취약(VU) B2ab(ii)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대성 육산패류로 강원도 태백산과 철원, 그리고 경상북도 울릉도에서 출현하며, 석회암지역의 약간 건조한 산지의 작은 돌 틈에 서식한다. 환경변화와 서식처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했다.  

분류학적 특징

패각 형태는 나탑이 낮은 원추형으로 나층은 4층이다. 패각은 황갈색을 띠고 전면에 규칙적이고 굵은 종륵이 비스듬히 나타나지만, 태각의 1.5층 정도는 회백색으로 매끈하고 광택이 난다. 체층은 크고 가장자리 중앙에 둔한 각이 있으며, 체층 밑면은 편평하다. 봉합이 깊어 나관이 뚜렷하다. 원형의 각구는 체층의 중앙 아래 부분에 접하고, 밑으로 약간 쳐지며 가장자리는 두꺼워지거나 젖혀지지 않고 대단히 얇다. 제공은 매우 넓고 깊어 각정 층이 보인다. 성체의 크기는 각고 3.5㎜, 각경 6㎜ 정도다.  

분포현황

일본에도 동일종이 서식하며 국내에는 Kuroda and Miyanaga(1939)에 의해 내금강에서 채집기록이 있고, 강원도 태백산과 철원, 경상북도 울릉도에서도 채집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평탑달팽이속(Discus) 육산패류는 유럽과 아시아 북부, 캄차카 반도 및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한대성 종으로 국내에는 울릉도평탑달팽이(D. elatior)와 함께 2종이 서식한다. 석회암지역의 약간 건조한 산지의 작은 돌 틈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남획 우려는 없으나 환경변화와 산림개발, 경작지 확대 등의 서식처 파괴가 주요 위협 요인이다

원기재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