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주박고둥

Ficus subintermedia (d'Orbigny, 1852)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표주박고둥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흡강목 >> 표주박고둥 과 >> Ficus
    • - MOLLUSCA >> GASTROPODA >> SORBEOCONCHA >> FICIDAE >> Fic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정보부족(DD)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수심 10-50m의 고운 모래에 서식한다. 모양은 표주박을 닮았다. 나탑(螺塔)은 낮으나, 각정(殼頂)은 뚜렷하다. 껍질은 갈색이 바탕색이며, 농갈색의 작은 반점들이 백색 줄과 함께 띠를 이루어 약 5-6개의 갈색 반점 백색 띠를 이루고 있다. 나륵(螺肋)과 성장맥이 교차하여 포목(布木)의 미세한 격자무늬를 띤다. 각구(殼口)는 길며 축순(軸脣; 세로의 각축과 평행 또는 일치하는 껍데기 주둥이 부분)이 길게 내려와 넓게 열려 있는 수관벽을 이루며, 각구 내면은 자갈색을 띠고 광택이 강하다. 제주도, 일본, 인도-서태평양,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모양은 표주박을 닮고 박질이다. 나탑은 낮으나 각정은 뚜렷하고 각표는 갈색이며 농갈색의 작은 반점이 백색 줄과 함께 색대를 이루어 약 5-6개의 갈색 반점 백색 띠를 갖고 있다. 각구는 길며 축순이 길게 내려와 수관벽을 이루며 각구 내면은 자갈색을 띠고 광택이 강하다.  

분포현황

제주도, 일본, 인도-서태평양, 오스트레일리아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수심 10-50m의 고운 모래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수산 자원으로의 가치가 높고, 수집 및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아 남획 우려가 높은 종이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표주박고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