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무늬뾰족날개나방

Habrosyne violacea violacea (Fixsen, 1887)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푸른무늬뾰족날개나방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뾰족날개나방과 >> 흰뾰족날개나방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THYATIRIDAE >> HABROSYNE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29-38mm이다. 이 종은 형태가 애기담홍뾰족날개나방(Habrosyne aurorina), 담홍뾰족날개나방(H. dieckmanni)과 유사하다. 그러나 애기담홍뾰족날개나방, 담홍뾰족날개나방에 비해 앞날개의 바탕색이 푸른색이 도는 짙은 보라색으로 더 어둡고, 기부와 tornal무늬들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으며, 내횡선(antemedian line)과 외횡선(postmedian line)도 각이 많이 지고, 바깥쪽으로 볼록한 점 등으로 구별된다. 앞가두리(costa)의 시정 가까이에 있는 짧은 흰 줄무늬도 위의 두 종에 비해 짧고 희미하게 나타나 잘 구별된다. 기주식물은 알려진 정보는 없다. 5-6월과 7-9월, 연 2회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북부, 중부), 중국(간쑤, 만주, 상하이, 저장성, 쓰촨성, 윈난성), 러시아(극동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성충: 날개 편 길이는 29~38mm이다. 이 종은 형태가 애기담홍뾰족날개나방(Habrosyne aurorina), 담홍뾰족날개나방(H. dieckmanni)과 유사하나, 앞날개의 바탕색이 푸른색이 도는 짙은 보라색으로 더 어둡고, 기부와 tornal 무늬들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으며, 내횡선(antemedian line)과 외횡선(postmedian line)도 각이 많이 지고, 바깥쪽으로 볼록하다. 전연(costa)의 시정 가까이에 있는 짧은 흰 줄(streak) 무늬도 상기 두 종에 비해 짧고 희미하게 나타나 잘 구별된다. 수컷생식기(그림 43. A, B): 구상돌기(uncus)는 아주 길고, 중간 이후부터 다소 굵어진 팽대부를 이룬다. 측돌기(socius)는 가늘고, 구상돌기의 3/5 정도의 길이이다. 덮개판(tegumen)은 짧고 넓다. 파악판(valva)은 기부가 좁고, 전연(costa)은 심히 경화된 좁은 띠모양을 나타내나 배면의 가자자리는 중간이 볼록하게 팽대되었고, 끝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삭쿨러스(sacculus)는 매우 짧아 배면 가장자리 1/4 정도의 길이이다. 인접물(juxta)은 넓고 짧은 막대모양이며, 작고, 포낭(saccus)도 작고 둥글다. 삽입기(aedeagus)는 파악판처럼 길고, 원통형으로 끝의 융기선(carina)은 약간 구부러진다. 사정낭침(cornutus)은 짧고, 삽입기 길이의 1/4 정도이다. 암컷생식기(그림 43. C): 산란관(papillae anales)은 좁고, 센털이 밀생되었으며, 앞뼈돌기(apophyses anteriores)는 뒤뼈돌기(apophyses posteriores)만큼 길이가 길다. 교미주머니(corpus bursae)는 폭이 넓고, tubular section의 말초부위 또한 그 폭이 넓게 발달된 형태를 나타낸다. 시그눔(signum)은 상당히 작고, 짧은 모양을 가진다. 기주식물: 알려진 정보는 없다. 출현기: 5월에서 6월과 7월에서 9월 연 2회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aszlo et al., 2007).  

분포현황

경기도, 강원도, 전라북도, 중국(간쑤, 만주, 상하이, 저장성, 쓰촨성, 윈난성), 러시아(극동 러시아)

서식지 / 생육지 특성

한지성 나방으로, 산지의 낙엽활엽수림의 가장자리에서 사는데, 7-8월에 한번 발생한다.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참고문헌

푸른무늬뾰족날개나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