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부전나비

Celastrina argiolus (Linnaeus, 175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푸른부전나비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부전나비과 >> 푸른부전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LYCAENIDAE >> CELASTRIN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개체수는 매우 많다. 국외에는 러시아, 일본, 중국, 타이완, 터키, 유럽, 북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아종으로는 C. a. ladonides (d'Orza, 1869) (Loc. Korea, Amur, Ussuri, Sakhalin, Kuriles, Japan), C. a. bieneri Forster, 1941 (Loc. Yakutia, Transbaikalia, Far East, Kamchatka) 등의 10아종이 알려져 있다. 연 수 회 발생하며, 3월 하순부터 10월에 걸쳐 나타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암먹부전나비와 더불어 가장 흔한 부전나비류이다. 날개 아랫면은 밝은 회색을 띠고, 아외연부의 짧은 검은색 점은 아래로 일정하게 줄지어 있어 유사종과 구별된다. 현재의 국명은 석주명(1947: 6)에 의한 것이며, 북한명은 물빛숫돌나비이다.  

분류학적 특징

날개편 길이 25-29mm로 부전나비 무리 중에서 작은 편이다. 수컷의 날개 윗면은 옅은 청람색을 띠며, 날개 테두리는 흑갈색을 띤다. 암컷은 기부에서 중앙부까지 옅은 청람색을 띠며, 중앙부에서 외연부까지 흑갈색을 띤다. 날개 아랫면은 밝은 회색을 띠며, 아외연부의 짧은 검은색 점무늬는 아래로 일정하게 줄지어 있다. 년 수 회 발생하며, 3월 하순부터 10월에 걸쳐 나타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암먹부전나비와 더불어 가장 흔한 부전나비류이다. 먹이식물은 콩과에 속하는 싸리, 좀싸리, 땅비싸리, 족제비싸리, 고삼, 아까시나무, 칡, 도둑놈의지팡이, 장미과에 속하는 사과나무, 쉬땅나무,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층층나무이다. 그리고 마쓰무라밑들이개미, 테라니시털개미, 주름개미, 일본왕개미, 곰개미, 혹불개미, 트렁크불개미, 불개미, 고동털개미, 풀개미, 일본풀개미, 스미스개미와 상호공생 관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Jang, Y.J., 2007: 10).  

분포현황

한반도 전역, 러시아, 일본, 중국, 타이완, 터키, 유럽, 북아프리카 등지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잡목림 및 초지대(산림, 농경지, 수변, 도시 공원 등)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Linnaeus (1758). Syst. Nat. (Edn 10), 1: 483.

참고문헌

푸른부전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