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큰수리팔랑나비

Choaspes benjaminii (Guerin-Meneville, 1843)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푸른큰수리팔랑나비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팔랑나비과 >> 푸른큰수리팔랑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HESPERIIDAE >> CHOASPE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반도에서는 주로 남부 지역의 활엽수림에 서식하며, 여름시기에 경기도 도서지방에서 이동한 개체가 관찰되기도 한다(백문기 등, 1994; 백문기 등 2000). 향후 한반도 중부 지역(경기도 도서지역)들에 자생할 가능성이 있어 기후변화 탐지 또는 감시 측면에서 유용한 종이다.  

분류학적 특징

날개 편 길이 42-46mm이다. 날개와 몸은 청록색을 띠는데, 바깥쪽으로 어두우며, 뒷날개 후각에 붉은색 무늬가 뚜렷하다. 그 안에 검은색 점무늬가 있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바깥 가장자리의 검은색 윤곽이 뚜렷한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는 남부지방의 활엽수림에 서식하며, 여름에 경기도 도서지방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연 2회 발생하며 봄형은 5월부터 6월, 여름형은 7월, 8월에 걸쳐 나타난다. 애벌레로 월동하며 경기도 도서지역에서는 남부지역에서 일시적으로 이동해 경기지역에 정착할 가능성이 있어 기후변화 탐지 또는 감시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종이다. 기주식물: 상록활엽수, 나도밤나무과 식물이 기주  

분포현황

한반도 남부 지역 상록활엽수림 지역, 일본, 대만, 인도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상록활엽수림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참고문헌

푸른큰수리팔랑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