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표범나비

Speyeria aglaja (Linnaeus, 175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풀표범나비
  • 이명 : 은별표문나비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풀표범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NYMPHALIDAE >> SPEYERI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위기(EN) EN A1(a, d)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우리나라에서 지리산 이북의 높은 산지에 있는 풀밭 환경에 분포한다. 기후변화와 산지의 초지가 감소하는 영향으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분류학적 특징

날개 편 길이는 49-54㎜이다. 날개 윗면은 은점표범나비, 왕은점표범나비와 큰 차이가 없으나 날개 아랫면은 조금 다르다. 특히 뒷날개 아랫면의 바탕색은 풀색을 더 짙게 띤다. 특히 은점의 형태가 다른데, 중실에 은점 무늬가 하나 더 나타나고, 아외연부 각 방에 은점이 줄지어 나타나 차이가 난다. 수컷은 날개 윗면에 굵은 성표가 나타나지 않아 암수구별이 쉽지 않으나 암컷이 수컷보다 크고, 날개 외연이 둥글어 보인다.  

분포현황

강원도 일부 고산지에서 확인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강원도 한랭한 지역의 풀밭에 사는데,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보인다. 과거에는 지리산 이북에 점점이 분포했으나 요즈음 매우 보기 힘들어졌다. 추운 지역에 사는 관계로 여름잠을 자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꼬리풀, 엉겅퀴, 꿀풀 등 여러 꽃을 즐겨 찾으며, 수컷은 물가에 잘 앉는다. 9월 초에 암컷은 먹이식물 둘레의 다른 물체에 알을 하나씩 낳는다(김·서, 2012).  

위협요인

서식지의 급속한 산림화에 따른 초지 감소 때문에 개체수가 급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원기재문

    Linnaeus (1758). Syst. Nat. (Edn 10), 1: 481.

참고문헌

풀표범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