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흰나비

Pontia edusa Fabricius, 1995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풀흰나비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흰나비과 >> 풀흰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PIERIDAE >> PONTI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준위협(NT) NT B1ab(i)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개요

강가의 풀밭에 사는데, 서식지가 변하면 이동한다. 흰나비과 중에서 이동성이 강하다. 최근 강가의 콘크리트 시설 때문에 감소하고 있다.  

분류학적 특징

날개 편 길이는 45-50㎜이다. 날개 윗면은 흰색 바탕에 흑갈색 무늬가 있는데, 앞날개 중실의 횡맥과 날개 끝에 뚜렷하게 나타난다. 다만 뒷날개는 아랫면의 짙은 무늬가 윗면에 비쳐 검어 보인다. 날개 아랫면은 흰색 바탕에 녹두색 무늬가 전체에 퍼져 있다. 암컷은 수컷보다 날개 전체가 어두우며, 특히 날개 기부의 색이 짙다.  

분포현황

서울 중량천 일부 지역과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만 관찰되고 있을 뿐이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확 트인 풀밭을 좋아하는데, 하천 주위의 습한 곳에서 산다. 개망초와 구절초, 냉이 등 여러 꽃에서 꿀을 빤다. 1m 정도의 높이로 빠르게 직선적으로 나는데, 그 모습이 노랑나비와 닮았다. 인기척에 민감해 꽃 꿀을 빨 때에도 접근하기가 곤란하다. 수컷은 자기들끼리는 물론 주변의 배추흰나비나 노랑나비의 뒤를 ?을 때가 많다. 암컷은 오후에 낮게 날아다니다가 먹이식물의 꽃이나 열매에 알을 하나씩 낳아 붙인다(김·서, 2012).  

위협요인

지금까지 정밀한 조사와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서식지의 파괴가 개체수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나비의 서식지가 대부분 대도시 주변의 하천 주위로, 하천정비와 같은 개발압으로 인한 서식지의 훼손이 개체수가 감소한 첫 번째 원인으로 손꼽힌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풀흰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