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복

Takifugu obscurus (Abe, 1949)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황복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척삭동물문 >> 조기강 >> 쏨뱅이목 >> 참복과 >> 참복속
    • - CHORDATA >> ACTINOPTERYGII >> TETRAODONTIFORMES >> TETRATODONTIDAE >> Takifugu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개요

몸길이 15cm이다. 몸은 둥근 유선형으로 앞쪽은 뭉툭하며 꼬리 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배지느러미와 늑골이 없으며 배를 불룩하게 부풀릴 수 있다. 이빨 4개가 있으며 등과 배에 작은 가시가 있다. 눈은 매우 작다. 주둥이에서 꼬리까지 황색 무늬가 넓게 있으며 등은 갈색, 배는 흰색을 띤다. 어릴 때는 황색이 나타나지 않다가 커가면서 황갈색으로 변한다.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 양쪽으로 검은색 반점이 있다. 연안이나 기수역에서 서식하며 봄에는 강 중류의 여울까지 올라와 산란하며 치어는 가을까지 하구에 머문다. 강 하구에 서식하는 어린 개체는 새우를 먹으며, 성어는 작은 동물 및 어린 물고기를 주로 먹는다. 산란기는 4-5월이고, 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으로 바닥에 자갈이 깔려 있는 여울에 산란한다. 남한에서는 현재 임진강과 한강 일부에, 북한에서는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체장은 15cm이며, 체형은 둥근 유선형인데 앞쪽은 뭉툭하며 꼬리 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원통형이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17-19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5-17개 및 척추골수 23-24개이다(김 1997). 배지느러미와 늑골이 없으며 배를 불룩하게 부풀릴 수 있다. 4개로 이루어진 이빨을 가지며 비늘에서 변한 작은 가시가 등 쪽과 배 쪽에 있다. 눈은 매우 작다. 주둥이부터 꼬리까지 황색 무늬가 넓게 있으며 등 쪽은 갈색, 배 쪽은 흰색을 띤다. 어릴 때는 황색이 나타나지 않다가 커가면서 점차 황갈색으로 변한다.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 양쪽으로 검은색 반점이 있다(김 1997, 이와 노 2006). 연안이나 기수역에서 서식하며 산란기인 봄에는 강 중류의 여울까지 올라와 산란하며 치어는 가을까지 하구에 머문다. 강 하구에 서식하는 어린 개체는 새우를 먹으며, 성어들은 게, 작은 동물 및 어린 물고기를 주로 먹는다(이와 노 2006). 산란기는 4-5월이고, 바닥에 자갈이 깔려 있는 여울로 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서 산란한다(김과 박 2007). 난경은 1.45-1.51mm이며, 수온 17℃에서 수정 260-280시간 만에 부화한다. 부화된 자어의 전장은 3.00-3.54mm이며 1-2일에는 3.20-3.67mm, 7일에는 4.02-4.41mm, 19일에는 6.87-7.23mm이었다. 30-60일경에는 자어가 외부로부터 스트레스나 공격을 받을 때 순간적으로 몸이 2-3배 부풀어져 복어류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특성을 나타낸다. 60일 후에는 23.54-30.12mm에 달하며 완전한 형태의 치어가 된다(장 등 1996). 회유성 어류로 강의 중·하류의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장소의 모래가 깔린 곳에서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임진강에서만 일부 산란이 이루어지고 있다.  

분포현황

서해로 흐르는 임진강, 강화도, 여주, 양평, 청평, 삽교, 강경, 부안, 군산 등의 기수역과 연안에 분포했으나, 현재 임진강과 한강 일부를 제외하고 발견되지 않고 있다(환경부 1997-2009). 산란기인 봄철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 북한의 서해로 흐르는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등의 기수역과 연안에 분포한다. 회유성 어류로 강의 중·하류의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장소의 모래가 깔린 곳에서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임진강에서만 일부 산란이 이루어지고 있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강의 하구와 황해와 동중국해의 연안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 임진강에서만 산란기에 회유하는 개체들을 발견할 수 있다.  

위협요인

강의 수질오염과 하구역의 제방축조에 따른 산란장 훼손, 무분별한 남획 등으로 서식지와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원기재문

   

참고문헌

황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