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줄박이오리

Histrionicus histrionicus (Linnaeus, 175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흰줄박이오리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척삭동물문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흰줄박이오리속
    • - CHORDATA >> AVES >> ANSERIFORMES >> ANATIDAE >> Histrionic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준위협(NT)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개요

우리나라 동해안과 남해안에 도래하는 겨울새로 몸길이 43cm이다. 수컷은 전체적으로는 검은색으로, 부리 위, 뺨, 귀 뒤쪽, 옆구리에 흰 줄무늬가 있다. 가늘고 긴 흰색 선이 목옆을 지난다. 목 아랫부분에는 흰색 목 띠가 있다. 부리는 회색빛이고, 다리는 갈색이다. 번식지에서는 물이 흐르는 산림에 서식하고, 월동지에서는 바닷가의 암석이 많은 곳에서 생활한다. 둥지는 물가, 바위틈, 풀숲의 땅 위에 마른 풀과 나뭇가지를 이용해 만든다. 알 낳는 시기는 5-8월이다. 알은 4-8개 낳는다. 캄차카, 시베리아 동부, 사할린, 쿠릴 열도 북부, 알류산 열도, 알래스카, 북아메리카 등에서 번식한다.  

분류학적 특징

수컷의 겨울깃은 이마, 머리꼭대기, 뒷머리 중앙은 검은색이며, 눈앞에는 크고 흰 얼룩무늬가 있다. 얼굴과 목은 회색빛을 띠고 눈 뒤의 아랫부분에는 작고 네모진 흰색 얼룩무늬가 있으며, 가늘고 긴 흰색 선이 목옆을 지난다. 목 아랫부분에는 흰색 목 띠가 있고, 목 띠의 위아래에는 검은색 띠가 있다. 등, 허리, 위꼬리덮깃은 검은색이다. 가슴과 배는 남색이며, 가슴 양쪽에 반달 모양의 가늘고 긴 흰색 얼룩무늬가 있고, 그 양쪽으로 검은 선이 지나간다. 옆구리는 밤색이다. 부리는 회색빛이고, 다리는 갈색이다(원 1981; 이 등 2000). 번식지에서는 물이 흐르는 산림에 서식하고, 월동지에서는 바닷가의 암석이 많은 곳에서 생활한다. 둥지는 흐르는 물의 물가, 바위틈, 풀 숲 속 땅 위에 마른 풀과 나뭇가지를 이용해 만든다. 알 낳는 시기는 5-8월이다. 알은 크림색으로 4-8개 낳아 28-29일 동안 품는다(원 1981).  

분포현황

우리나라 동해안의 간성, 대진, 양양, 속초, 울진, 포항 등의 해안과 남해안의 사천만, 부산-울산 해안, 제주도 해안에 서식한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개체수가 적으며, 2000년 동해안에서 10개체, 2001년 동해안에서 37개체, 2004년에 60여 개체, 2006년 66개체, 2008년 130여 개체, 2010년 30여 개체로 지난 10년간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증가했으나 불규칙적이다(환경부 1999-2010). 캄차카, 시베리아 동부, 사할린, 쿠릴 열도 북부, 알류산 열도, 알래스카, 북아메리카, 홋카이도 등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전 세계 개체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없으나 1970년대 중반 알류산 열도의 번식 후 군집은 1,000,000개체 정도로 추정되었다. 현재까지는 개체수가 많아 관심대상종으로 취급해 보호하고 있다(del Hoyo et al. 1992; IUCN 2010). 우리나라에서 번식하지 않는 겨울철새이며, 캄챠카 반도, 시베리아 동부, 사할린, 쿠릴열도 북부, 알류샨열도, 알래스카, 북아메리카 등에서 번식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우리나라 동해안과 석호, 남해안과 제주도 등에 서식한다. 동해안의 간성, 대진, 양양, 속초, 포항, 영덕 등의 해안과 남해안의 사천만, 부산, 울산 해안, 제주도 해안에 서식한다.  

위협요인

어망에 걸려서 익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기름 유출에 의한 오염 등을 위협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원기재문

    Linnaeus (1758). Syst. Nat. ed. 10, p. 127(America).

참고문헌

흰줄박이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