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줄표범나비

Argyronome laodice (Pallas, 1771)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흰줄표범나비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흰줄표범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NYMPHALIDAE >> ARGYRONOME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종으로서 개체수는 많다. 국외에는 러시아, 일본, 중국, 미얀마, 중앙아시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아종으로는 A. l. fletcheri (Watkins, 1924) (Loc. Amur and Ussuri region), A. l. ferruginea (Watkins, 1924) (Loc. Sakhalin), A. l. samana (Fruhstorfer, 1907) (Loc. W. China) 등의 8아종이 알려져 있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부터 10월에 걸쳐 나타난다. 수컷은 앞날개 윗면 제2, 3맥에 굵고 검은 줄의 성표가 있다. 암컷은 수컷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날개 시정부가 돌출되지 않아 근연종인 큰흰줄표범나비와 쉽게 구별된다. 현재의 국명은 석주명(1947: 3)에 의한 것이며, 북한명은 흰줄표문나비이다.  

분류학적 특징

날개편 길이 50-61mm로 네발나비과 무리 중에서 보통 크기이다. 날개의 윗면은 황색 바탕에 검은색 점무늬가 산재해 있다. 뒷날개 아랫면 중앙부에서 외연부까지 적갈색을 띤다. 수컷은 앞날개 윗면 제2, 3맥 상에 굵고 검은 줄의 성표가 있다. 암컷은 수컷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날개 시정부가 돌출되지 않아 근연종인 큰흰줄표범나비와 쉽게 구별된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부터 10월에 걸쳐 나타난다. 유충으로 월동한다. 산지내 초지대, 농경지 주변 등의 개화식물에서 쉽게 관찰된다. 개망초, 큰까치수영, 엉겅퀴, 금계국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먹이식물은 제비꽃과에 속하는 식물들이다.  

분포현황

한반도 전역, 러시아, 일본, 중국, 미얀마, 중앙아시아, 유럽 등지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산지의 숲 주변, 농경지 주변, 수변 주변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Pallas (1771). Reise Russ. Reichs, 1: 470.

참고문헌

흰줄표범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