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끝검은표범나비

Argyreus hyperbius (Linnaeus, 1763)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암끝검은표범나비
  • 이명 : 끝검은표범나비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암끝검은표범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NYMPHALIDAE >> ARGYREU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제주도와 남해안에 서식하는 종으로 최근 서해안 도서 등 중북부지방까지 분포의 확대 추세. 날개를 편 길이는 70-80mm 정도다. 수컷의 날개 윗면은 다른 표범나비류와 같이 귤빛 바탕에 검은 점무늬가 퍼져 있으나 암컷의 앞날개 끝은 절반가량이 검게 그을린 듯 어두운 흑자색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암끝검은나비란 이름이 붙여졌다. 암컷의 앞날개 끝에 검은 부분에는 넓게 흰색의 띠무늬가 있어 한층 돋보인다. 수컷의 앞날개 아랫면은 날개 끝이 연한 녹색을 띠고 있고 은색 무늬가 몇 개 있으며 그 외는 붉은빛이 돌고 있다. 반면에 뒷날개 아랫면에는 은색과 연녹색 무늬 및 검은 줄모양의 무늬가 어우러져 있다. 울릉도와 제주도 등 남부 도서지방이나 중부지방의 해안가 등의 야산이나 풀밭 등지에서 살고 있다. 성충은 2월-11월에 걸쳐 연 3-4회 출현하고 있다. 일본, 중국, 버마, 히말라야, 파키스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수컷의 날개 윗면은 다른 표범나비류와 같이 귤빛 바탕에 검은 점무늬가 퍼져 있다. 그러나 암컷의 앞날개 끝은 절반가량이 검게 그을린듯 어두운 흑자색을 띠고 있다. 그리하여 암끝검은나비란 이름이 붙여졌는데 암ㆍ수가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암컷의 앞날개 끝에 검은 부분에는 넓게 흰색의 띠무늬가 있어 한층 돋보인다. 수컷의 앞날개 아랫면은 날개 끝이 연한 녹색을 띠고 있고 은색 무늬가 몇 개 있으며 그 외는 붉은빛이 돌고 있다. 반면에 뒷날개 아랫면에는 은색과 연녹색 무늬 및 검은줄 모양의 무늬가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다. 날개의 편 길이는 70-80mm 정도이다. 엉겅퀴, 큰까치수영, 해바라기, 중나리 등의 꽃에서 꿀을 즐겨 빤다. 제주도 등 남부 도서지방이나 해안가 등의 야산이나 풀밭 등지에서 살고 있는데 간혹 중부지방의 서해안을 따라서 북상하여 나타난다. 성충은 2월-11월에 걸쳐 연 3-4회 출현하고 있다. 한반도에는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종으로 제주도와 남해안 해안 지역 일대가 주 서식지이며, 암컷의 날개 윗면은 앞날개 끝 쪽으로 약 절반가량이 자흑색으로 그 가운데 흰 띠가 있어 수컷과 구별된다. 연 3-4회 발생하며 봄형은 3월부터 5월까지 여름형은 6월부터 11월에 걸쳐 나타난다. 이동성이 강해 가을에는 서해안 도서 등 중북부지방까지 볼 수 있다. 애벌레로 월동한다. 기주식물: 제비꽃과 식물이 기주  

분포현황

제주도와 남해안 도서 해안 지역, 일본, 중국, 버마, 히말라야, 파키스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북아프리카 동북부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숲 가장자리, 들판  

위협요인

정보부족

원기재문

   

참고문헌

암끝검은표범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