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흰뱀눈나비

Melanargia epimede Staudinger, 1887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조흰뱀눈나비
  • 이명 : 자료없음
  • 분류체계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흰뱀눈나비속
    • - ARTHROPODA >> INSECTA >> LEPIDOPTERA >> NYMPHALIDAE >> MELANARGIA
  •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준위협(NT) NT A1(a, d) 평가방법 보기
  • IUCN범주 : 자료없음

개요

흰뱀눈나비와 거의 같은 생태적 특징을 가졌다. 다만 이 종 이 분포 면에서 볼 때 추운 지역에 치우쳐 두 종은 지리적으로 격리된다. 이 종도 흰뱀눈나비과 같이 초지의 축소 때문에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분류학적 특징

날개 편 길이는 52-65㎜이다. 흰뱀눈나비와 생김새가 거의 닮아 차이가 크지 않다. 다만 바탕색이 조금 어둡고, 크기가 조금 작은데, 한라산 고지의 개체들은 크기가 더 작으며, 경기도 서해 도서산은 날개 전체가 어두워지는 개체도 많이 나타나는 등의 지역에 따른 변이가 있다. 이 종과 흰뱀눈나비와의 차이는 뒷날개 아랫면 중횡대의 검은 줄무늬에 있는데, 이 종에서는 이 무늬가 뚜렷하지 않다.  

분포현황

한라산 고지대 초지와 경상북도와 전라북도 이북의 산지에서 확인되고 있다(김·서, 2012).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산지의 풀밭에서 살며, 제주도 한라산에서는 1,100m부터 백록담까지의 건조한 풀밭에 산다. 큰까치수염, 개망초, 엉겅퀴, 백리향, 꿀풀, 곰취 등 여러 꽃에서 꿀을 빠는데, 여러 마리가 한꺼번에 모여 있는 경우가 많다. 수컷은 풀 사이를 쉼 없이 날아다니며 암컷을 탐색한다. 암컷이 국화과 율무쑥에 알을 낳은 경우를 발견한 적이 있었으나 이 식물은 먹이식물이 아니며 다만 먹이식물 주변에 알을 낳는 습성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김·서, 2012).  

위협요인

서식지의 급속한 산림화에 따른 초지 감소 때문에 개체수가 급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원기재문

    Staudinger (1887). Romanoff, Mem. Lepid. 3: 147, pl. 16, fig. 10.

참고문헌

조흰뱀눈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