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idae (국화아강) > Gentianales (용담목) > Apocynaceae (협죽도과) > Amsonia (정향풀속) > elliptica (정향풀)
이명정보
[원기재명]
Tabernaemontana elliptica Thunb.

정향풀은 협죽도과 여러해살이풀로 2017년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신규 지정된 식물이다. 꽃은 5월에 피는데 하늘색이며, 열매는 골돌, 둥글고 길이 5~6cm이며, 털이 없다. 우리나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전라남도 완도군 등에 자생하며, 꽃핀 모양이 정(丁)자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정자초’, ‘수감초’라고도 부른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위기종(EN)으로 평가되어 있다. [저작재산권자]

  •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1]

    국내에서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전라남도 완도군 등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경기도 일부 지역에도 확인된 기록이 있다. [1]

  • 여러해살이풀로 해안가 모래땅이나 풀밭에서 산다. 5월경에 개화한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6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정신 자극제 C21H24N2O3 32790-09-3 352.432
    2
    진경제 C21H24N2O3 32790-09-3 352.432
    3
    항종양(대장직장암) C21H22N2O5 67332-48-3 382.415
    4
    항종양(대장직장암) C21H22N2O3 67249-35-8 350.416
    5
    항종양(대장직장암) C21H22N2O4 67249-36-9 366.416
    6
    항종양(유방암) C21H22N2O4 67249-36-9 366.416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3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Detection of plastic, cellulosic micro-fragments and microfibers in Laternula elliptica from King George Island (Maritime Antarctica). [Marcelo González-Aravena, Carmen Rotunno, César A Cárdenas, Mariett Torres, Simon A Morley, Jessica Hurley, Luis Caro-Lara, Karla Pozo, Cristóbal Galban, Rodolfo Rondon] Marine pollution bulletin 2024
    2 Archival records of the Antarctic clam shells from Marian Cove, King George Island suggest a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ocean acidification. [Hyein Seo, Boongho Cho, Soobin Joo, In-Young Ahn, Taewon Kim] Marine pollution bulletin 2024
    3 Microbiome profile of the Antarctic clam Laternula elliptica. [Marcelo González-Aravena, Garance Perrois, Alejandro Font, César A Cárdenas, Rodolfo Rondon] 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 [publication of the Brazili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23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4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정향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정향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정향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정향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