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좀사위질빵

Clematis brevicaudata D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좀사위질빵

Clematis brevicaudata D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좀사위질빵

Clematis brevicaudata D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좀사위질빵 Clematis brevicaudata DC.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Magnoliidae (목련아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Clematis (으아리속) > brevicaudata (좀사위질빵)
이명정보
[원기재명]
Clematis apiifolia var. biternate Makino
[학명이명]
Clematis vitalba var. brevicaudata Kuntze

산기슭이나 숲 주변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다. 줄기는 덩굴지며, 길게 뻗는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2번 갈라진 3갈래 겹잎으로 5~15개의 갈래잎으로 된다. 가운데 갈래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0~5.5cm, 폭 1~4cm, 끝은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다. 잎자루는 길이 2~10cm,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은 4장, 도란형으로 길이 5~10mm, 바깥에는 짧은 털이 있으나 안쪽에는 털이 없다. 열매는 수과, 난형, 9~10월에 익는다. 끝에 붙어 있는 암술대는 깃털 모양으로 길이 1.5~3.0cm, 흰색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몽골, 중국 등에 분포한다. 사위질빵에 비해 잎이 2번 갈라진 3갈래 겹잎이며, 가운데 갈래잎이 피침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해지므로 구분된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좀모란풀이라고도 부른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 몽골, 중국 [2]

    전국 [2]

  • 낙엽 덩굴나무다. 꽃은 7~9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