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목화

Gossypium indicum Lam.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목화

Gossypium indicum Lam.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목화

Gossypium indicum Lam.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목화 Gossypium indicum Lam.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Dilleniidae (딜레니아아강) > Malvales (아욱목) > Malvaceae (아욱과) > Gossypium (목화속) > indicum (목화)

아욱목 아욱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밭에서 섬유자원으로 재배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가지를 치고 높이 1.0~1.5m, 어린가지와 잎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난상 삼각형으로 끝은 뾰족하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연한 노란색, 흰색, 분홍색을 띠고,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개씩 달린다. 꽃싸개잎은 3장, 삼각상 난형으로 양면에 기름샘이 있다. 꽃받침은 잔 모양, 가장자리는 5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5장, 넓은 도란형,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 난형, 늦가을에 익으면 3~4갈래로 갈라진다. 씨는 2종류의 털로 덮여 있는데 하나는 길고 다른 하나는 짧다. 씨를 덮고 있는 솜털을 섬유원료로 쓰고, 씨는 기름을 짜거나 약재로 이용한다. 면화라고도 한다. 아시아 또는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우리나라 전역과 전 세계에서 재배한다. [저작재산권자]

  • 아시아 또는 남아메리카(원산), 전 세계(재배) [2]

    전국(재배) [2]

  • 한해살이풀로 꽃은 8~9월에 피고 열매는 늦가을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17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3 면역증진 MTT assay MTT assay
    4 항균 Disc difussion assay
    5 항당뇨 Cell cytotoxicity (Myoblast) CCK-8 viability test
    6 항당뇨 Mitochondrial potential TMRE assay
    7 항당뇨 Indirect mitochondrial biogenesis (Myoblast) MTT assay
    8 항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검출(RT-PCR법) RT-PCR
    9 항바이러스 MTT assay WST-1 assay
    10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9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재배한 목화의 씨를 볶아서 먹으면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두드러기 증상을 완화해준다.
    2 구전 약용 목화 씨, 종자를 구워서 두드러기가 올라왔을 때 먹는다.
    3 문헌 농사용 그리고 단성(丹城) 전사(田舍)에 돌아와 2월에 처음으로 씨 한 알을 꽃밭 두둑에 심었는데 싹이 트지 않았고 3월에 씨 한 알을 심으니 싹은 나왔으나 말라 죽고, 4월에 씨 한 알을 심었더니 가을에 흰 꽃이 피었다. 이와 같이 3년을 지나니 마침내 크게 번성하고 불어났는데, 씨를 제거하고 실뽑아내는 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여 손톱으로 씨를 발라내고 손으로 실을 꼬아서 썼다. 
    4 구전 제충용 광목(목화)을 잘라 장독에 벌레가 들어가지 못하게 장독을 씌우고 꼭 묶어둔다.
    5 문헌 생활용 지방 사람들은 쇠로 만든 씨아로 그 씨를 빼버리고, 솜과 같은 것만 모아서, 자그마한 대나무 활로 활줄을 잡아 당기면서 뭉실뭉실하게 탄다. 모두 일정하게 타진 후에 솜을 말아서 대통처럼 속이 비게 만든다. 물레[紡車] 가락에 대고 돌리면 저절로 실오리가 뽑혀 나오는데, 베틀에 짜서 베를 만든다.”고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지금 면화(綿花)라는 것이다.
    6 문헌 생활용 그 이름을 백첩자(白疊子)라고 하는데, 베를 만들 수 있다.
    7 문헌 생활용 남쪽 오랑캐는 누에를 기르지 않고 목면을 따서 솜을 만든다.
    8 문헌 생활용 씨아[攪車]란 것은 지금 목화씨를 빼는 기구가 즉 그것인데, 바퀴 끝에 달린 굽은 자루는 이름을 씨아손[掉拐]이라 한다. 이미 씨를 뺀 목화는 활로 타서 수숫대 끝줄기로 마는데, 이는 이름을 말대[捲筳]라 하며, 물레[紡車] 가락은 줄을 따라 빙빙 도는데, 이는 실톳[筟繀]이 라는 것이다. 물레를 발로 돌리면서 왼손으로는 솜통을 잡고 실톳 위에다 연이어 놓은 다음, 오른손으로는 끌어 당기면서 실을 뽑고 왼손으로는 고르게 비벼 꼰다. 많이 뽑는 경우엔 둘이 아울러 하루에 세 톳씩 뽑는데, 모두 질긴 실로 이루어지게 된다. 우리나라 물레는 곧 문익점(文益漸)의 장인 정천익(鄭天益)이 처음으로 만든 것이다. 물레 하나에 실톳도 하나로 되었으며, 사용함에 있어서는 한 사람만이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쥐고 돌리면서 왼손으로는 실을 뽑아 가락에 감게 되어 있는데, 회전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중국 물레와 비교하면 일을 갑절 할 수 있으니, 또한 묘하게 만들어졌다 하겠다.
    9 문헌 농사용 참깨짚을 작두로 썰어 외양간에 밟혀 내여 겨울을 지낸 것과 목화씨를 소량물에 버무린 것도 모두 거름으로 사용할 만하다.
    10 문헌 농사용 살구꽃이 만발할 때를 표준하여 콩 심기, 기장, 조, 수수, 록두, 지마, 참깨, 율무, 목화 등을 파종하며
  • 표본 (총6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725469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충청북도 제천... / 2018-10-2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25598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충청남도 아산... / 2018-11-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54896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경상남도 산청... / 2019-09-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92332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전라북도 전주... 기린봉 / 1987-10-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11759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인천광역시 강... / 2020-11-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25716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인천광역시 서... / 2021-07-01 건조표본 2건

    소재 (총8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593223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충청북도 제천... / 2018-10-22 조직 1건
    NIBRGR0000593353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충청남도 아산... / 2018-11-11 조직 1건
    NIBRGR0000603179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충청북도 제천... / 2018-10-22 종자 2건
    NIBRGR0000603294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충청남도 아산... / 2018-11-11 종자 1건
    NIBRGR0000626604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인천광역시 강... / 2020-11-09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606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인천광역시 강... / 2020-11-09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37072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인천광역시 강... / 2020-11-09 조직 1건
    NIBRGR0000658862 Gossypium indicum Lam. / 목화 인천광역시 강... / 2020-11-09 추출물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Gossypium indicum Lam. 목화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