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개똥쑥

Artemisia annu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개똥쑥

Artemisia annu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개똥쑥

Artemisia annu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개똥쑥 Artemisia annua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idae (국화아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Artemisia (쑥속) > annua (개똥쑥)
이명정보
[국명이명]
개땅쑥

햇볕이 잘 드는 교란된 장소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고, 강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높이 1m가량 녹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3회 깃꼴겹잎, 길이 4~7cm, 맨 끝 갈래는 피침형, 크기가 비슷하며, 너비 0.3mm가량, 표면에 가루 같은 잔털과 샘점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두상꽃차례에 달린다. 머리모양꽃은 녹황색이며 지름 1.5cm가량, 원추형으로 배열된다. 머리모양꽃관모양꽃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수술암술이 모두 가임성이다. 모인꽃싸개는 털이 없고 2~3줄로 배열, 바깥 조각은 긴 타원형, 안쪽 조각은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 9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경기, 충남, 제주 등에 나며, 유럽, 아시아 등에 분포한다. 대다수 쑥속 식물과 유사하나, 개똥쑥은 한해살이인 점에서 구분된다. 전초를 건위제로 사용하며, 항말라리아 성분이 있어 자연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살충제 개발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식물이다. [저작재산권자]

  • 유럽, 아시아 [2]

    경기, 충남, 제주 [2]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161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ABCA1 발현 증강제 C10H16O2 . 168.235
    2
    CYP1A2 억제제 C19H18O8 479-91-4 374.346
    3
    CYP1A2 억제제 C19H18O8 57296-14-7 374.346
    4
    CYP1A2 억제제 C16H12O8 161585-86-0 332.266
    5
    CYP1A2 억제제 C17H14O8 59171-34-5 346.293
    6
    CYP1A2 억제제 C17H14O8 123563-74-6 346.293
    7
    CYP1A2 억제제 C18H16O8 83162-82-7 360.320
    8
    T 세포 억제제 C15H22O5 63968-64-9 282.336
    9
    T 세포 억제제 C15H20O5 101020-89-7 280.320
    10
    T 세포 억제제 C15H22O4 72826-63-2 266.336

    효능실험정보 (총 34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ELISA TNF-a ELISA
    3 면역증진 ELISA 면역증가 세포증식 assay
    4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5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 XRE Luciferase assay XRE luciferase assay
    6 세포독성시험 MTT assay MTT assay
    7 세포독성시험 MTT assay MTT assay
    8 세포독성시험 Neutral red assay Neutral Red Uptake assay (Cell Viability test)
    9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Palmitate-induced ER stress test CCK-8 Viability test
    10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CCK-8 Viability test CCK-8 Viability test

    논문 (총 307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Ferroptosis: A New Research Direction of Artemisinin and Its Derivatives in Anti-Cancer Treatment. [Youke Wang, Xiang Yuan, Min Ren, Zhiyu Wang]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24
    2 Inhibition of TNF-α Oncogene Expression by Artemisia Annua L. Extract Against Pioglitazone Side Effects in Male Albino Mice. [Silvia Botrous, Ayaat Elmaghraby, Samar El-Achy, Yehia Mustafa, Effat Badr, Amany Haggag, Salah Abdel-Rahman] Molecular biotechnology 2024
    3 Anticancer Effect by Combined Treatment of <i>Artemisia annua</i> L. Polyphenols and Docetaxel in DU145 Prostate Cancer Cells and HCT116 Colorectal Cancer Cells. [Eun Joo Jung, Hye Jung Kim, Sung Chul Shin, Gon Sup Kim, Jin-Myung Jung, Soon Chan Hong, Ky Hyun Chung, Choong Won Kim, Won Sup Lee] Current issues in molecular biology 2024
    4 Artemisinins: Promising drug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Xu Gao, Xian Lin, Qingwen Wang, Jian Chen] Medicinal research reviews 2024
    5 Advanced metabolic engineering strategies for increasing artemisinin yield in <i>Artemisia annua</i> L. [Yongpeng Li, Yinkai Yang, Ling Li, Kexuan Tang, Xiaolong Hao, Guoyin Kai] Horticulture research 2024
    6 Chromosome-scale genome assembly of <i>Poa trivialis</i> and population genomics reveal widespread gene flow in a cool-season grass seed production system. [Caio A C G Brunharo, Christopher W Benson, David R Huff, Jesse R Lasky] Plant direct 2024
    7 Biological Control of Weeds in turfgrass: opportunities and misconceptions. [Joseph C Neal] Pest management science 2024
    8 Bioprospecting of Artemisia genus: from artemisinin to other potentially bioactive compounds. [Stefano Negri, Fabio Pietrolucci, Sebastiano Andreatta, Ruth Chinyere Njoku, Carolina Antunes Silva Nogueira Ramos, Massimo Crimi, Mauro Commisso, Flavia Guzzo, Linda Avesani] Scientific reports 2024
    9 Attenuation of quorum sensing regulated virulence functions and biofilm of pathogenic bacteria by medicinal plant Artemisia annua and its phytoconstituent 1, 8-cineole. [Mo Ahamad Khan, Mohammad Shahid, Ismail Celik, Haris M Khan, Anwar Shahzad, Fohad Mabood Husain, Mohd Adil] Microscopy research and technique 2024
    10 The effect of <i>Artemisia annua</i> L. aqueous and methanolic extracts on insulin signaling in liver of HFD/STZ diabetic mice. [S Mohammad Reza Seyedi Moqadam, Mohammad Shokrzadeh Lamuki, Forouzan Sadeghimahalli, Mahshid Ghanbari] Journal of complementary & integrative medicine 2024

    특허 (총 567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Saponin production in yeast Yuzhong Liu|Samantha Aiko Crowe|Jay D. Keasling|Xiaoyue Chen|Graham Arthur Hudson|Fei Gan|Henrik V. Scheller|James Reed|Laetitia Martin 2024-06-24
    2 COMPARTMENTED PHARMACEUTICAL DOSAGE FORMS Xiaoling LI 2024-06-11
    3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URTICARIA, ECZEMA, AND ALLERGIC CONSTITUTION Yakun WU 2024-06-07
    4 IMPROVED WAXY DELIVERY FORMS FOR OILY AGRONOMIC ACTIVE INGREDIENTS AND METHOD OF PREPARATION DE SIMEIS, Davide|FRESCHI, Giorgio|MAZZEI, Emma|ZUCCHINALI, Stefano 2024-04-04
    5 Artesunate powde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Bryan L. Smith|Lisa Thomas Read 2024-02-16
    6 HOST CELLS CAPABLE OF PRODUCING RETINOL OR RETINOL PRECURS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HSIAO, Victoria|MANTOVANI, Simone M.|DRAPER, William E.|TAI, Anna|YANG, Yue 2024-02-02
    7 PRODUCTION OF CANNABINOID GLYCOSIDE COMPOUNDS IN CELL CULTURE Richard T. Sayre|Elton Carvalho Gonçalves|Tawanda Zidenga|Stephanie Willette 2024-02-01
    8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COLLOIDAL SILVER AND PLANT EXTRACTS BAITI, Sadek 2024-01-31
    9 Artemisia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inhibition of cells of Mycobacterium species Scarlet S. Shell|Pamela Weathers|Joshua J. Kellogg 2023-12-21
    10 ARTEMISIA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INHIBITION OF CELLS OF MYCOBACTERIUM SPECIES WEATHERS, Pamela|SHELL, Scarlet S|KELLOGG, Joshua J. 2023-12-21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약쑥(개똥쑥)을 찧어서 즙을 내어 하룻밤 이슬 맞춘 후 섭취하면 여름에 입맛이 없거나 더위 먹은 것을 완화해준다.
    2 구전 약용 개똥쑥을 말려서 차로 끓여 먹으면 암 예방에 좋고 혈뇨 볼 때 차로 마시며 전립선에 좋고 요실금에도 좋은데 잘 없어서 댐 옆에서 구해왔다.
    3 문헌 식용 卷 19 구황(救荒) - 팽나무잎[檀葉]․느티나무잎[櫷葉]․쑥잎[蒿葉] : 이 세 가지 잎과, 전채(田菜)나 산채(山菜)는 2월 이후에는 모두 따서 먹음으로서 기근을 구제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곡식가루와 섞어서 먹어야 살 수 있다. 곡물이 조금 남았을 때부터 미리 아껴서 여러 가지 곡식과 섞어 먹어야지, 갑자기 다 떨어지면 안된다.
    4 문헌 농사용 섶에 올리기[入簇] - 남방의 섶 올리는 법은 모두 여전히 적합하지 않다. 지금은 누에를 잘 기르는 사람들이 하는 말이 있다: 남북의 중간 방법을 쓴다. 누에가 적으면 창문을 적게 열고 실내에서 섶에 올리는 것이 좋고, 누에가 많으면 정원 안을 골라 긴 봄풀을 엮어 짜 초가집을 세워 그 안에 누에섶을 만들고 둘레에 나무시렁[木架]을 세워 쑥이나 나뭇가지를 평평하게 깐 다음에 누에를 그 위에 편다. 거적이나 잠박으로 그 둘레에 쳐 보호해주면 섶에서 병이 생기지 않으니 실로 좋은 방책이다.
    5 문헌 농사용 섶에 올리기[入簇] - 또 다른 방법 : 누에시렁이나 잠박 위에 쑥을 슬슬 뿌리고 누에시렁주변에 섶과 나뭇가지와 쑥을 펼쳐서 잠박이나 거적으로 감싸주면 누에가 스스로 고치를 짓게 되니 오히려 비가 내릴 때 섶에 올리는 것보다 훨씬 낫다.
    6 문헌 농사용 섶에 올리기[入簇] - 「한씨직설」: 둥근 섶[圓簇] 안치 : 높은 곳에 섶을 설치하되 섶다리를 만든다. 섶 하나에 잠박 6개 분량의 누에를 올릴 수 있다. 누에가 10할 중 9할이 익으면 뽕잎을 적게 뿌려주어야 한다. 잠박 위에서 키를 사용하여 옮겨간다. 정성스레 손으로 섶 위에 흩어놓고 힘써 드물고 고르게 해준다. 그 위에 다시 나뭇가지나 쑥 또는 콩대를 덮은 후에 누에를 앞서와 같이 헤쳐 놓는다.
    7 문헌 농사용 섶에 올리기[入簇] - 쑥으로 만든 섶이 역시 좋다. 그 섶 바깥쪽의 것은 늦어져 날씨가 추워지면 전부 고치를 짓지 않는다. 불을 사용하면 실풀림이 쉽고 실이 밝고 희다. 볕에 말라죽은 고치는 비록 희더라도 실이 연해 질기지 않다. 이 때문에 생명주[縑]를 누여 옷을 해 입으면 몇 배나 실이 들어간다. 심한 경우에는 한 해 노력이 헛된 것이 되기도 하니 질기고 연한 격차가 아주 심하다. 돈을 벌기 위해 필요한 이치를 어찌 모를 수 있겠는가?
    8 문헌 식용 위아(蔚茙)의 종류이다. 모두 봄에 나기는 하지만 맛도 다르고 이름도 각각이다. 청호(靑蒿)라 한다.
    9 구전 약용 암에는 개똥쑥 잎으로 차를 끓여 먹음
    10 구전 약용 삶아서 물을 먹음,삶아서 나물로 무쳐 먹음
  • 표본 (총94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21576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경상북도 울진... / 2001-06-1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41200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경기도 김포시... / 2004-08-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53184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강원도 고성군... / 2008-07-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09462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경상북도 구미... 해평습지 / 2009-08-13 건조표본 3건
    NIBRVP0000214641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경기도 김포시... 문수산 / 2009-08-2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49307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인천광역시 강... 요옥산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49308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인천광역시 옹... 연화봉 / 2007-10-1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79144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인천광역시 강... 볼음도 / 2008-09-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13975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인천광역시 강... 고려산 / 2005-08-3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40217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지리산 / 1989-09-21 건조표본 1건

    소재 (총64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8356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인천광역시 강... 볼음도 / 2008-09-08 조직 1건
    NIBRGR0000178515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인천광역시 강... 볼음도 / 2008-09-08 DNA 1건
    NIBRGR0000411232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강원도 평창군... / 2017-08-26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13153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강원도 평창군... / 2017-09-27 종자 1건
    NIBRGR0000413156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강원도 평창군... / 2017-09-28 종자 1건
    NIBRGR0000413157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강원도 강릉시... / 2017-09-30 종자 1건
    NIBRGR0000413163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강원도 삼척시... / 2017-10-07 종자 1건
    NIBRGR0000418262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강원도 태백시... / 2016-08-27 조직 1건
    NIBRGR0000418287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전라북도 군산... / 2016-09-04 조직 1건
    NIBRGR0000418291 Artemisia annua L. / 개똥쑥 인천광역시 중... 용유도 / 2016-09-01 조직 1건
  • 염기서열 (6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rtemisia annua L. 개똥쑥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rtemisia annua L. 개똥쑥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rtemisia annua L. 개똥쑥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rtemisia annua L. 개똥쑥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rtemisia annua L. 개똥쑥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Artemisia annua L. 개똥쑥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Holman J, Lee S, Havelka J (2006) A revision of the genus Macrosiphoniella del Guercio (Hemiptera: Aphididae) from the Korean peninsula, part I: Subgenera Asterobium, Chosoniella, Papillomyzus, Phalangomyzus, Sinosiphoniella.. Proceeding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08 : 174 – 197

      한국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